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어제 “내수와 수출이 모두 위축되고 있다”며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하루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한국의 성장률을 두 달 만에 0.2%포인트 낮춰 2.4%로 전망했다. 다른 주요국에 대해선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하거나 높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런 비관적 전망이 잇따르는 것은 6개월 연속 마이너스가 확실시되는 수출을 비롯해 생산 투자 소비 고용 등 각종 지표들이 동반 부진에 빠지며 우리 경제의 엔진이 급격히 식고 있는 탓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주요국 경제가 뒷걸음질칠 때도 한국은 성장세를 지켜냈지만 불과 10년 만에 그 저력을 잃고 저성장 고착화를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된 것이다.
KDI는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돼 글로벌 교역이 더 둔화될 경우 성장률이 0.2%포인트 이상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 일부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1%대까지 낮춰 잡았다. 이런 엄혹한 상황에도 청와대는 “경제가 성공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등의 낙관론을 견지하며 시장에서 부작용을 일으켜 온 정책들을 고집하고 있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또한 낮은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개혁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 KDI는 생산성 증가세가 현 수준에 머물 경우 2020년대 성장률이 1% 후반에 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기 부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도 고용시장 경직성을 깨는 노동개혁과 ‘포스트 반도체’를 대비할 산업구조의 질적 전환 없이는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