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여전히 논란되고 있지만, 이미 해외는 차량호출 서비스 등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운영되고 있다. 미국에는 우버, 동남아에는 그랩과 고젝 등이 자리잡아 사람들이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 이용한다.
동남아 모빌리티 분야에서 우버를 이긴 동남아 시장 1위 그랩이 2년 전부터 금융 분야에 도전장을 냈다. 차량호출 서비스조차 자유롭게 제공할 수 없는 우리나라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아직 국내에서 논란 중인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가 금융까지 넘보니 말이다.
그랩의 금융 산업 포부
< 그랩이 \'머니 2020\'에서 금융 서비스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출처: 그랩 >
이에 그랩이 나섰다. 중소기업 운영자금 대출 서비스를 포함한 금융서비스 'Grow with Grab'을 발표한 것. 이 서비스는 싱가포르에서 중소기업 대출과 함께 운전기사를 위한 마이크로 보험도 제공한다. 또한, 사후 결제 및 분할결제 서비스, 온라인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결제 서비스 등을 포함한 'Pay with GrabPay' 등도 선보였다.
< 출처: 그랩 >
차량호출 서비스가 왜 금융서비스를?
그랩은 900만 이상의 소규모 기업가에게 그랩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 결과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었으며, 데이터를 분석해 소규모 기업을 위한 적절한 금융 서비스 제품도 출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랩 측은 "데이터 통찰력을 통해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금융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 제공: 핀다 >
그랩이 처음 차량호출 서비스를 출시할 당시에는 금융서비스 확장까지 고려했는지 알 수는 어렵다. 하지만, 그랩이 보유한 다양한 데이터는 금융서비스 확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었고, 이러한 데이터가 기존 전통 금융기관이 관여할 수 없었던 분야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랩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점은 새로운 차량호출 서비스 규제가 단순히 '교통' 산업 분야만의 혁신을 막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무릇 혁신은 다른 혁신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유미 / 핀다 외부 필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이데일리에 입사해 기업금융, IT, 국제부, 증권부 등을 담당했다. 2016년 카이스트 MBA 졸업하고, 2017년 여름부터 스타트업에서 콘텐츠 기획 및 편집 등을 담당 중이다.
핀다 퍼포먼스 및 콘텐츠 마케팅 담당. 서울시립대학교 통계학과 학사.
글 / 핀다 이유미 외부필자, 핀다 정은애 마케팅 매니저
편집 / 동아닷컴 IT전문 권명관 기자 tornados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