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대졸 실업자가 60만3000명으로 2년 만에 다시 최고치를 경신(종전 기록을 깨뜨림)했다. 작년보다 3만 명 가까이 늘었고, 1999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특히 1분기(1∼3월)를 기준으로 대졸 실업자 51만여 명 가운데 15∼29세 청년층이 22만4000명으로 44%에 달했다. 일자리 부족의 고통을 청년층이 가장 많이 떠안고 있는 셈이다.
통계청은 올해 공무원 시험 공부를 하는 공시족(공무원 시험 준비생을 이르는 말)이 18만 명 가까이 늘었고 시험이 4월에 몰리는 바람에 4월 실업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취업준비자는 취업도 실업도 아닌 비(非)경제활동인구로 잡히지만, 시험 원서를 접수시키면 실업자로 분류된다. 어제 정태호 대통령일자리수석비서관은 “지난해 취업자 증가 수는 약 9만7000명이었지만 올해는 매달 17만∼26만 명”이라면서 “어렵긴 하지만 작년보다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산업 개발과 정부의 제2 벤처붐 조성 등 정책들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올 들어 늘어난 취업자의 상당수가 세금으로 만들어낸 일시적인 일자리다. 4월 전체 실업률은 4.4%로 2000년 4월 이후 가장 높았고, 정부가 만든 일자리는 노인 일자리가 많았다. 청년 체감실업률은 25.2%로 현장에서 느끼는 고통은 더욱 크다.
정부는 노동시장(노동력이 상품으로 거래되는 시장) 개혁(제도나 기구 따위를 새롭게 뜯어고침)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 만성 실업으로 고생하던 유럽 여러 나라의 고용률이 높아진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 안정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독일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사회안전망(질병, 빈곤 등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을 통해 실업자를 보호하면서 기간제 파견제 허용으로 근로자의 안정성과 기업의 고용 유연성을 함께 높였다. 앞으로 신기술 신산업이 물밀듯 밀려와 어떤 직업도 안전지대는 없을 것이다. 고용보험 등 사회안전망을 늘리면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높여야 기업과 산업이 살고 근로자도 살 수 있다.
동아일보 5월 20일자 사설 정리
1. 다음 중 본문을 읽고 보일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일자리 부족의 고통은 청년층이 가장 많이 떠안고 있구나.
② 창업 성공률은 중장년보다 청년층이 높구나.
③ 정부는 중장년들이 창업을 해 청년들을 고용하도록 지원해야겠구나.
④ 유럽 국가들은 노동 시장의 ‘유연 안정성’을 높였구나.
① 날씨가 더워 선풍기에서도 후텁지근한 열풍만 나온다.
② 우리 학교에서는 독서 열풍이 불고 있다.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