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동아일보DB
27일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로부터 걸려온 전화였다. 미술관 측이 언급한 ‘가감 없는’ 기사는 현재 회고전이 열리는 예술가 박서보의 인터뷰였다.
해당 기사는 작가 작업실을 찾아 회고전을 열게 된 소감과, 그간 제기된 여러 이야기에 관한 작가의 생각을 듣고 정리했다. 그런데 미술관은 “다른 곳은 전시에 포커스를 맞춰 써주셨는데, 해당 기사는 작가 발언을 가감 없이 써서 난감하다”고 했다.
문제는 ‘이미 다 정립됐다’는 시각이다. 미술관은 현재 생존 작가의 전시를 열고 있다. 미술사적 평가가 이뤄지지 않은 시점에서 당연히 다른 의견이 제기될 수 있다. 더구나 ‘국립’현대미술관이 아닌가. 공공의 목적으로 전시를 열었다면 비판까지도 수렴해 건강한 담론을 형성하는 게 마땅하지 않을까.
오스카 와일드는 “예술은 정답이 있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처럼 봐서는 안 되며, 미스터리에 휩싸인 여신처럼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좋은 예술은 예술가 자신을 포함해 다양한 사람의 치열한 비평과 검증을 거쳐 탄생한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