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지침서 낸 ‘개 마음 읽어주는 의사’ 설채현 원장
미세먼지로 반려견 산책을 못 하는 경우가 잦다. 설채현 원장은 “‘매우나쁨’인 날에는 산책을 생략하고 수치가 심하지 않은 날에는 간단한 산책을 권한다. 그 대신 집에서 놀이와 장난감으로 정신적 자극을 주는 게 좋다”고 했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카메라 앞에서 잔뜩 움츠린 강아지를 흰 가운을 입은 남자가 달콤한 목소리로 달랜다. 개 마음 읽어주는 의사로 알려진 설채현 원장(34)이다. 최근 ‘그 개는 정말 좋아서 꼬리를 흔들었을까?’(동아일보사·1만5000원·사진)를 펴낸 그를 4일 서울 중구 ‘그녀의 동물병원’에서 만났다. 반려동물은 여자친구처럼 대해야 한다는 뜻으로 병원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반려견 세상이와 원두, 반려묘 지코와 꾹꾹이가 병원 안을 자유롭게 활보하고 있었다. 외모도 성격도 제각각이지만 그에겐 모두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이들이다. 특히 불법 번식장에서 직접 데려온 세상이는 마음이 쓰인다. 어두컴컴하고 불결한 공간에서 오래 지낸 탓에 한동안 사람 가까이에 오지 못했다.
견주와의 궁합도 중요하다. 가족 구성원의 성향, 라이프스타일과 맞는지를 따져야 한다. 가장 후순위로 미뤄야 할 요소는 외모란다. 부대끼다 보면 어떤 종이든 예뻐 보이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견종, 자라온 환경, 타고난 기질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영·유아를 둔 가정은 반려견을 쉽게 들이지 못한다. 털 빠짐과 안전사고가 걱정된다. 이에 설 원장은 “털 빠짐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얘기다. 안전사고는 관리가 가능한 부분”이라고 일축했다. 다소 높아진 목소리로 그가 설명을 이어갔다.
“둘째가 태어나면 첫째가 질투를 하듯 반려견도 주인이 자신을 소홀히 대하면 상처를 받아요. 자녀를 돌볼 때 반려견도 한 번 쳐다봐 주는 식으로 관심을 줘야 합니다. 견종은 온순한 골든리트리버, 비숑 프리제, 코통 드 튈레아르, 시추 등이 좋을 것 같네요.”
끊이지 않는 개 물림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견주의 관리 능력 △강아지의 의사를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 △제도적 뒷받침 등 3박자를 갖춰야 한다는 게 설 원장의 설명이다. 특히 견주의 자격 요건을 강화하는 게 시급하다고 본다.
행동 치료를 꾸준히 해도 차도가 없는 경우가 있다. 계속 꼬리를 쫓아 돌거나, 피부병이 없는데도 종일 핥거나, 주변을 두리번거리는 행동 등이 대표적이다. 설 원장은 이럴 경우 약물 치료 병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는 “종일 집에 갇혀 있고 산책을 못 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많은 강아지들이 질환을 앓을 것”이라며 “보호자에 대한 공격성, 분리 불안, 강박 행동 같은 경우 약물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고 했다.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행복해지는 방법을 연구하고 싶어요. 반려견의 행동 문제와 그로 인한 민원 등으로 우울증을 앓는 견주가 적지 않아요. 개의 감정, 언어, 학습 방법을 ‘열공’해서 견주들이 행복해졌으면 합니다.”
이설 기자 sno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