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1일 볼보이’ 체험
프로야구 볼보이들은 경기 시작 5시간 전부터 선수들의 연습을 챙기고 경기가 끝난 뒤 마무리까지 전담한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기자가 일일 볼보이로 안전장비를 설치하고 연습 공을 배치하고 타구를 처리하는 모습이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프로야구 열기로 매일 후끈 달아오르고 있는 야구장에서 등번호 없는 유니폼을 입은 채 야구공을 쫓는 이들이 있다. 볼보이다. 이들은 각종 파울볼, 강습 타구 정리는 물론이고 연습시간 볼 수거까지 챙긴다. 볼보이는 각 구단이 매년 봄 공모를 통해 선발하는데 최근 경쟁률이 5 대 1을 넘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응모자는 대부분 야구에 관심이 많은 20대 대학생 등 젊은층이다. 이들은 “야구가 좋아 볼보이 아르바이트를 선택했다”고 입을 모았다. 어떤 매력에 끌리는 걸까.
두산 베어스 구단에 볼보이 체험 취재를 의뢰하자 “정말 괜찮겠느냐. 이걸 왜 하려 하느냐”는 반응이 돌아왔다. 일 강도가 센 데다 자칫 공에 맞아 부상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섞여 있었다. 기자가 어릴 적 리틀야구 경력을 들이밀자 그때서야 두산 측은 볼보이 유니폼을 내주었다.
배팅케이지 설치가 끝나면 투구 연습용 마운드를 설치하고, 야구공 박스를 곳곳에 배치했다. 야구공이 수백 개씩 들어 있는 박스를 몇 차례 옮기자 다리가 후들거렸다. 지켜보던 한 볼보이가 안쓰러운 듯 “제가 들게요” 하며 거들어줬다.
1시간여 동안 정신없이 준비 작업을 끝낸 시간이 오후 3시. 이때부터 두산 선수들의 연습이 시작됐다. 쉴 틈 없이 그늘 한 점 없는 야구장 외야로 빈 박스를 옮기기 시작했다. 사방으로 흩어지는 연습 타구를 센터(중앙)로 모아 박스에 담는 작업이다.
우익수 자리를 맡았다. 잠시 후 하늘에서 야구공들이 눈이 쏟아지듯 날아오기 시작했다. 정신없이 떨어지는 공을 주워 센터 자리로 던져주길 반복하다 보니 몇 분 지나지 않아 등줄기로 땀이 흐르고 오른쪽 어깨는 시큰거리기 시작했다. 모두 같은 처지려니 생각했는데, 다른 볼보이들은 모두 프로 선수처럼 능숙하게 타구를 잡아내고 있었다. 허리를 굽혀 바닥에서 공을 줍느라 바빴던 건 기자뿐이었다.
오후 4시. 두산 선수들의 훈련이 끝나갈 무렵 공이 담긴 박스를 옮기고 보호망을 정리했다. 볼보이 체험은 여기까지였다. “본경기에선 더 강한 타구가 날아와 초보자는 위험하다”는 두산 관계자의 말에 못 이기는 척 고개를 끄덕였다.
경력 5년 차 볼보이 안병휘 씨(22)는 “한여름에 연습 볼을 받고 경기장을 정리하다 보면 현기증이 날 때도 있다”면서도 “밤 경기를 마친 뒤 동료들과 그라운드에서 캐치볼을 하면 그날의 피로가 싹 풀린다”고 말했다.
두산 볼보이를 관리하는 이승우 신화안전시스템 실장은 “볼보이는 개인 일정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아르바이트”라며 “일당은 하루 5시간 근무에 8만∼9만 원 수준으로 직접 야구장에서 뛰는 행복감이 크다”고 소개했다.
두산 볼보이는 총 20여 명. 이 중 개인 일정에 따라 연습시간(훈련 보조)에 2명, 본경기(경기 지원)에 6명이 배당된다. 경기가 시작되면 좌우 외야 파울 지역에 한 명씩, 양 팀 타자 대기석에 2명씩 배치돼 파울볼 등을 처리한다.
한 경기에 사용되는 공은 200개 안팎. 한 번이라도 방망이에 맞거나 땅에 튄 공은 고교 야구팀 등에 제공해 재활용된다. 이 야구공들을 수거해 반납하는 것까지 볼보이의 몫이다.
볼보이는 경기가 끝나도 바로 퇴근할 수 없다. 다음 날 팀원들의 업무가 수월하도록 그물망 등을 창고에서 그라운드로 꺼내 둔 뒤에야 하루 일과가 끝난다. 등번호가 없지만 야구에 대한 열정은 프로 선수에 못잖은 이들, 바로 볼보이들이다.
황태훈 기자 beetle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