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개교 133주년 특별전… 개념-제작기법-조형미 상세 조망
여말선초(麗末鮮初) 시기인 14, 15세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상감 유로문 매병’. 고려청자의 상감 기법을 계승한 ‘상감 분청사기’의 대표작이다. 이화여대박물관 제공
일제강점기였던 1941년 미술사학자 고유섭(1904∼1944)은 청자, 백자와는 다른 조선 초의 도자기를 분청사기로 이름 지었다. 분청사기는 청자에 분을 바르듯 백토(白土)를 표면에 분장한 후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도자기를 일컫는다. 14∼16세기 조선 왕실을 비롯한 관청과 사대부 계층이 즐겨 찾았지만 백자의 인기가 커지자 차츰 기억과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오히려 분청사기는 일본에서 관심이 컸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 도공들에 의해 분청사기가 고급 다기(茶器)로 인기를 끈 것. 이후 구한말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분청사기를 앞다퉈 찾으면서 다시 우리 앞에 나타났다.
15세기 초까지 활발하게 제작된 상감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유로문(柳蘆文) 매병’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조선시대 도자기 지석인 ‘선덕(宣德)10년명 지석’(1435년) 등 100여 점의 유물이 출품됐다. 태종 17년(1417년) 이후 관청에서 사용할 그릇에는 관사의 이름을 표기하는 정책이 시행됐는데 이를 보여주는 ‘분청사기 인화문 경승부(敬承府)명 접시’와 한글이 적혀 있는 ‘분청사기 귀얄문 어존명 고족배’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2019 대학박물관 진흥 지원 사업’에서 일부 지원을 받아 마련됐다. 12월 31일까지. 무료.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