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보이지 않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먹이연쇄 통해 인간 위협”

입력 | 2019-06-17 14:43:00

박은옥연구원 "해양쓰레기 57% 플라스틱…포괄 대응책 필요"




 미세플라스틱 등 플라스틱 쓰레기 해양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생태계 보호 및 깨끗한 바다환경 조성을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광주전남연구원 박은옥 연구위원은 <광전 리더스 Info> ‘보이지 않는 미세플라스틱, 해양생태계의 새로운 위협’에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통합관리 정책을 통해 사전예방·수거부터 재활용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연구위원에 따르면 국내 해양쓰레기 연간 발생량은 총 17만6807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재질별로는 플라스틱(57%)이 전체 해양쓰레기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해양환경에 더욱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피해 저감을 위한 대응 방안 마련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 요소로서 인식돼야 한다…

또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 침적으로 해양생태계 파괴 및 오염이 심화돼 어족자원의 먹이 생물량 및 산란장·은신처가 감소되며, 방치된 플라스틱은 작은 조각으로 파편화된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형돼 생태계의 먹이 연쇄(사슬)를 통해 플랑크톤에서 어패류를 거쳐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박 위원은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이 시간이 경과돼 미세플라스틱으로 진행되기 전 최대한 수거·처리가 필요하며,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과 유입경로, 오염현황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피해 저감을 위해 국가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정비하고 도서지역을 포함한 정부·지자체 간 해양플라스틱 처리 관련 관리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해양플라스틱 포함 해양쓰레기 발생원 예방 사전처리를 위한 어구실명제 도입 및 어구관리시스템 구축, 육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유입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및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해양쓰레기 자원화 노력을 제안했다.

박 연구위원은 “해양플라스틱의 배출량 감소와 자원화를 위해 다양한 지역 주민 참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해양플라스틱이 포함된 해양쓰레기 수거지원사업의 정책예산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무안=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