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 21일 북한을 국빈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북한과 중국이 어제 동시에 발표했다. 지난해부터 김정은이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지만 시 주석의 방북은 두 사람이 각각 집권한 이후 처음 이뤄지는 것으로, 중국 국가주석으로서는 2005년 후진타오 전 주석의 방북 이래 14년 만이다.
시 주석의 방북은 김정은의 네 차례 방중에 대한 답방 차원에서 올해 상반기 안에 이뤄질 것으로 진작부터 예상됐다. 하지만 2·28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방북은 기약 없이 미뤄졌다. 하노이 결렬 이후 북한이 일체의 대화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이번 시 주석 방북은 향후 동북아 정세에 미묘한 파장을 낳을 수 있다.
특히 시 주석 방북은 미국과의 무역·기술전쟁에다 대만·홍콩을 둘러싼 내정간섭 논란까지 미중이 날카롭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이뤄진다. 중국은 재작년 미중 무역갈등 초기에 그랬듯이 이번에도 미중 대결의 지렛대이자 반전 카드로 북핵 문제를 꺼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 주석으로선 김정은의 후견인으로서 영향력을 확인하는 한편 이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북핵 해법을 내밀며 미중 갈등의 휴전을 노릴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의 방북은 북한이 대화 재개에 나서도록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중국의 대북 외교는 김정은의 비핵화 결단을 압박하고 지원하는 것이어야지, 북-중 밀착을 과시하며 김정은이 딴마음을 품게 하는 것이어선 안 된다. 특히 중국이 나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전선을 무너뜨린다면 돌이키기 어려운 결과를 낳을 뿐이다. 북한이 지난해 초 협상에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 중국까지 제재에 동참했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