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이 지난 1월 9일 베이징 호텔 북경반점에서 오찬 전 와인으로 건배를 하고 있는 모습.(노동신문)2019.1.10/뉴스1
SCMP는 시 주석이 한반도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 방문에 나선다며 미래에 북핵 협상에서 어떤 결과가 나와도 중국은 북한을 최대한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김정은 위원장을 최대한 도울 것이며, 중국은 한반도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오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양국의 전략적 대화를 강화하며 북한이 다른 나라와 관계를 개선하는 것도 적극 돕겠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은 이같은 입장을 북한 노동당의 기관지 노동신문에 실었다.
이에 앞서 중국 외교부는 북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 진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 © News1 자료 사진
북미는 유엔제재를 두고 입장을 달리하며 북핵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북한은 일부 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는 제재 완화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북한이 붕괴하지 않도록 북한에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해와 유엔 대북제재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시 주석은 이 같은 미국의 불만에도 쌀 등 인도적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고 SCMP는 예상했다.
카네기-칭화대학 국제전략센터의 연구원인 자오퉁은 “시 주석이 방북에 나서는 것은 중국이 북핵문제에 아직도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미국에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시 주석의 방북은 2005년 후진타오 주석 방북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라고 SCMP는 전했다.
(서울=뉴스1)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