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스팔트 폐기물 재활용… 100% 재생 콘크리트 개발이 목표”

입력 | 2019-06-24 03:00:00

㈜윤성산업개발




㈜윤성산업개발 임직원 단체 사진.

도로 위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친환경적인 건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윤성산업개발은 레미콘, 아스콘,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및 수집 운반업을 주로 해오고 있다. 레미콘과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도로 노면 교체 공사 등에서 생긴 아스팔트 포장 폐자재를 수집 운반한다. 그리고 폐아스콘으로 친환경적인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가 생산한 순환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건설폐기물 등의 환경 자원을 재사용한다는 데 있어 친환경적 제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환경 표지 인증과 GR인증을 모두 획득한 상태이다. 또한 일반가열 아스팔트 혼합물과 비교했을 때, 품질 측면에서도 전혀 뒤지지 않는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한 윤성산업개발은 중온개질아스팔트를 생산한 선두 공장으로 기존 가열재생시장의 순환골재 재활용률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온개질아스팔트는 기존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30도 이상 낮은 온도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및 배출가스 감소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회사는 향후 중온재생시장의 새로운 개척을 위해 첨가제 개발 및 레미콘 제품에도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제품을 개발 하고 있다. 회사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는 가열아스팔트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중온아스팔트 시장을 개척하고 폐아스팔트 재활용 비율은 기존 30%에서 40%로 늘리는 것이다. 최종 목표는 100%까지 사용할 수 있는 순환아스팔트 콘크리트와 환경 친화적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윤성산업개발 회사 전경.

윤성산업개발의 슬로건은 ‘푸른 내일을 지키는 환경 친화적 기업이 되자’이다. 자부심을 가지고 외친 슬로건인 만큼 이를 지키기 위해 회사는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일컬어지는 아스팔트에 대한 인식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비중을 점점 늘려가 환경 친화적 제품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자본, 인력의 부족으로 기술개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도 사실이지만 산학협력으로 경쟁력을 키워 나가고 있다.

최근 윤성산업개발은 국립한경대와 연구개발 및 학술교류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기술정보 및 전문인력 교류를 토대로 국책연구 사업화 및 기술 실증화를 성취할 수 있었고, 회사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2019년 4월부터 국토교통부 미세먼지사업단 교통물류연구사업에 도로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자원순환산업진흥협회, 한국아스팔트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정회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 최유승 대표 인터뷰 “폐아스콘 재활용 기술로 친환경 건설시대 앞장”


2016년 정부는 정부발주 공사에 재활용 아스콘 40% 사용을 의무화했다. 아스콘의 특성상 주기적인 보수 공사가 따라야 하고 이 때문에 발생하는 폐아스콘의 처리 문제가 부각됐다. 매립제로 활용할 수 있지만 환경오염 문제가 있었다. 폐아스콘의 처리와 재활용 문제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최유승 대표(사진)는 2017년 순환가열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 획득까지 추진했다. 최 대표는 “사회간접자본 건설의 일획을 담당하고 있지만 환경을 파괴하고 유해물질을 배출하고 있다는 세간의 인식이 있다. 업계는 환경오염 유발 업종이라는 멍에를 벗기 위해 친환경 제품 개발에 스스로 앞장서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도 이러한 현실 속에서 막연히 규제만 할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이 대다수인 동종업계에 연착륙을 유도하는 각종 지원방안 수립을 추진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중소기업으로서 겪는 고충에 대해서도 토로했다. 그는 “중소기업으로서 지자체 인허가를 받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사업을 진행하며 국내 사회간접자본 사업 분야의 일익을 담당한다는 자부심으로 일하고 있지만 많은 고충이 있다”며 “지자체 인허가 시 까다로운 심의과정과 필요 이상의 비효율적인 절차로 어려움이 많다. 이 분야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거나 전문성이 떨어지는 심의 인력도 큰 문제점이다”며 정부 정책에 있어서 일침을 가했다.

최 대표는 “환경 친화적 기업이 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녹색 제품 개발에 힘쓰겠다”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김민식 기자 ms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