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여지분 18.3%…내년부터 2022년까지 최대 10%씩 분산매각 희망수량경쟁입찰 우선…유찰·잔여 물량은 블록세일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과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1월14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우리금융지주 출범식에서 현판 점등식을 마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2019.1.14/뉴스1 © News1
우리금융지주가 오는 2022년까지 완전 민영화된다.
정부(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지분 18.3%를 내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기존 과점주주 또는 신규 투자자에게 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 24일 제167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최대 10%씩 입찰 방식으로 분산 매각…잔여 물량은 블록세일
정부는 우리금융지주 잔여 지분을 내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3년간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 매각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중에는 우리금융의 자체 물량 소화가 필요해 내년부터 지분 매각을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 이사회가 지난 21일 손자회사인 우리카드의 자회사 편입을 의결하면서 현 우리카드 최대주주인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지주 지분 약 6.2%(약 0.6조원)를 보유하게 됐다. 그러나 우리은행은 취득일로부터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6개월안에 매각해야 한다.
정부는 우리금융 잔여지분에 대해 매회 10% 범위 안에서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하고, 유찰·잔여물량은 ‘블록세일’로 처리하기로 했다. 지난 2016년 과점주주 매각 시 활용한 희망수량경쟁입찰은 입찰자 중 예정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으로 희망하는 가격·물량대로 여러 명에게 낙찰시키는 방식이다. 우선 매각 대상은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등에 유리한 전략적 투자자 등 대형 투자자다.
입찰 대상은 과점 주주 또는 신규 투자자다. 신규 투자자는 최소입찰물량(예:4%) 등을 충족하는 대형 투자자로 한정한다. 정부는 사외이사 추천권 등 투자유인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기로 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우리금융의 사외이사는 6명으로 신한(12명), KB(8명), 하나(8명) 등 경쟁 금융지주사보다 적다.
매각은 희망수량경쟁입찰(약 4개월)과 잔여물량 블록세일(약 2개월) 소요기간 등을 고려해 원칙적으로 1년을 주기로 하되 직전 매각일로부터 6~18개월 기간 중 할 예정이다. 매회 매각 추진 시 매각소위에서 심사 후 공자위 의결을 거쳐 세부 매각조건을 확정한다.
◇금융위 “주가에 연연안해…1만3800원 넘으면 원금 100% 회수”
정부는 이번에 미리 발표한 매각방안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우리금융의 완전한 민영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세훈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관은 “그간 정부가 보유한 민간회사 주식을 매각할 때 적정한 시점·주가 수준 등이 걸림돌이 됐다”며 “이번에는 계획된 일정대로 차질없이 지분을 매각해 완전 민영화가 지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정책관은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1만3800원 수준이면 투입한 공적자금 원금을 100% 회수할 수 있다”며 “우리금융이 민영화됨으로써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는 만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유일한 목표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전일 종가 기준 1만4050원이다.
이 정책관은 “공자위 계획은 주가에 연연하지 않고 어느 정도 범위에서만 움직인다면 매각하는 것”이라며 “또 다른 금융위기 등 사태가 발생한다면 공자위에서 매각 방안을 다시 논의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정책관은 “기본적으로 지배구조는 우리금융지주에서 고민할 부분”이라며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금융회사도 연기금이 최대주주인 주인 없는 회사인 만큼 주식이 분산돼 있다고 해서 주인없는 회사로 보긴 어렵다”고 했다.
(서울=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