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건축 통합계획으로 지구계획·건축설계 일관성 갖춰야
독일의 저층 건축물 위주 개발 사례./사진제공=국토부 © 뉴스1
정부가 추진 중인 수도권 3기 신도시 건설을 고층 건물에서 탈피해 중·저층 위주의 연도형(連道形, 건축물이 길게 늘어선 형태)으로 계획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신도시 포럼 발족식’을 개최했다. 신도시 포럼은 대규모 신규택지의 청사진 마련을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한 싱크탱크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들의 의견을 수렴해 3기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게 된다.
이 중 도시·건축분과의 위원으로 위촉된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는 발제를 통해 신도시 택지개발 기획단계부터 도시건축 통합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구계획 및 건축설계까지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도시건축 통합계획의 기본 방향으로 Δ소통과 통합이 가능한 도시 Δ공유와 융합이 있는 도시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들이 소외되지 않고 함께 어우러져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위해 어느 한 지역만 개발이 집중되는 슈퍼 블록 일변도를 지양하고 중소규모 중심의 다양한 개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특히 사람이 소외되지 않는 중·저층형 위주의 연도형 도시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과거 1960~1970년대 주택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를 빠르고 쉽게 해결하기 위해 대단지의 고층 아파트를 건설했다. 그러나 안전사고에 따른 위험성, 과도한 에너지 소비, 정신질환 등 사회병리학적 문제 등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고층 아파트를 허물고 4~5층 규모의 저층 건물로 재개발을 진행 중이다.
김 위원은 “가로변 건축물을 중저층 위주의 연도형으로 계획해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공간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또 건축물이 도시공간과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개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