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이에 따라 물가안정 목표치를 2%로 설정한 한국은행이 물가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예전만 못한데다가 최근 정부 정책도 물가를 더 내리는 쪽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어 통화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8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올랐다. 1월(0.8%) 이후 물가 상승률이 6개월 연속 0%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2015년 2~11월(10개월) 이후 최장 기간 0%대 상승률이다. 올 상반기(1~6월) 누계 상승률도 0.6%로 2015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았다.
통계청은 저물가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7, 8월 전기료 인하, 9월 고교 무상 납입금 확대 등이 예정돼 있어 하반기(7~12월)에도 물가가 많이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도 0%대에 머물 공산이 커지고 있다.
저물가가 장기화되면서 ‘물가 당국’인 한은의 고민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지난해까지 6년 연속 한은의 목표치인 2.0%에 못 미쳤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으로 직접 제어하기 어려운 영역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은 고민이다. 과거에 비해 물가 움직임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춰 돈을 풀면 물가가 상승하는 게 정상이라고 본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장에 유동성이 충분해 중앙은행의 돈 풀기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돈이 안 돌고 있다. 지금은 금리를 내려도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복지정책도 물가를 내리는 압력으로 작용하며 통화당국의 대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무상교육이 물가를 끌어내리다보니 물가에 대한 영향력이 중앙은행보다 서울시교육청이 더 크다는 말이 돈다”고 말했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