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이탈리아에 31억달러(약 3조 6560억원)를 3년에 걸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토머스 먀오 화웨이 이탈리아 지사장은 이날 밀라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탈리아) 정부는 미중 간 무역갈등에 영향받지 않는 공개적이고 투명한 정책을 쓰고 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그는 투자금 용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19억달러(약 2조 2400억원)는 이탈리아 공급망에, 12억달러(약 1조 4160억원)를 영업과 마케팅에 투자하며, 그 중 5200만달러는 연구개발(R&D)에 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달 초엔 모나코가 화웨이 기술을 바탕으로 유럽 최초로 전국에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를 상용화했다. 화웨이가 이탈리아를 비롯, 유럽 시장에 대대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미국의 제재에 대한 반작용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자 지난 5월 화웨이가 중국 정부와 직접 거래한다는 이유로 블랙 리스트에 올려놓았다. 미국 부품업체들이 화웨이와 거래하기 위해서는 당국 허가를 따로 받아야 한다. 그러다 지난달 말 중국과 무역 재협상이 시작되자 트럼프 정부는 화웨이에 대해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치지 않는 한 징벌적 조치를 완화하겠다며 한 발 물러났다.
이날 투자 발표 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화웨이가 미국 시장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계획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에서 일자리 창출이 줄게 되는 셈.
먀오 지사장은 이와 관련, “우리가 미국 공급업체와 거래할 수 있느냐는 중요하지 않다‘며 ”우리는 파트너들에게 지속적으로 공급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