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더 많은 유니콘이 뛰놀게하자”… 팔걷은 대기업-금융권

입력 | 2019-07-25 03:00:00

[‘스케일 업’ 스타트업]<下> 민간주도 벤처생태계 구축




포스코는 5월 중소벤처기업부·한국벤처캐피탈협회와 함께 1조 원 규모의 벤처 플랫폼을 구축했다. 포스코의 벤처 플랫폼은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이 연구와 투자 유치, 기술 교류를 유기적으로 할 수 있는 ‘벤처 밸리’와 국내외 유망 기술 벤처 등에 투자하는 ‘벤처 펀드’로 구성된 사업이다. 1조 원 중 8000억 원은 벤처 펀드에, 2000억 원은 기술사업화 기반 구축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 민간 주도로 진화하는 벤처 생태계


금융권과 기업이 모태펀드와 공동 출자해 창업 및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상생협력형 펀드’도 탄탄하다. 지난해 하나은행이 모태펀드와 공동으로 1100억 원 규모의 민간 모(母)펀드를 조성한 이래 한화(300억 원) 미래에셋(200억 원) 등 대기업의 공동 출자가 이어졌다. 지난달 기준 상생협력형 펀드는 9872억 원이 조성됐고, 총 17개 펀드로 구성됐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벤처투자 시장에 기업들도 팔을 걷은 것이다.

벤처 생태계가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변화한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더 많은 유니콘 기업이 ‘뛸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모태펀드는 최소한의 마중물 역할만 하고 민간 자금 출자 비중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정부는 지난해 40%였던 모태펀드 최대 출자 비율을 올해 30%로 줄였다. 민간이 자유롭게 투자 분야 등을 제안하는 ‘민간제안형 펀드’를 도입해 투자 분야가 높은 분야에 모험 자본을 공급하도록 한 것도 두드러진 변화다. 지난해 민간 제안형 펀드는 18개 펀드, 1조2230억 원 규모로 조성됐다.

민간의 실제적인 지원 서비스도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리아스타트업네트워크(KONE)와 ‘청년창업기업 스케일업 및 유니콘 기업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ONE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청년창업사관학교’ 출신 기업을 회원으로 하는 국내 최대 규모 스타트업 조직이다. 우리은행은 KONE 회원사에 청년창업 전용통장 및 카드, 대출금리 및 환율 우대, 경영 컨설팅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 일자리 창출에도 가시적 성과

벤처 투자에 대한 민간 기업의 역할을 키우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도 이뤄지고 있다. 민간기업이 유망 벤처기업에 신속한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규제 혁신이다. 지난해 말 한국벤처투자가 발표한 동일기업 투자 한도 폐지가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에는 동일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한도가 20%로 제한됐다.

후행투자 제한도 사라졌다. 이전에는 후행 투자 시 조합원 총회를 열고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는 특별 결의가 필요했다. 모두 벤처기업에 대한 신속한 투자 지원을 위해 규제를 개선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제2벤처붐을 언급하면서 “규제혁신, 혁신금융, 인재육성 등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힌 것은 이 같은 맥락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다 공정거래법을 개정해 벤처지주회사 설립 요건을 완화하는 등 대기업의 벤처투자 수요를 키우기 위한 제도 보완도 추진되고 있다.

모태펀드로 비롯한 벤처 투자 활성화는 유니콘 기업의 성장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도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모태펀드로부터 출자를 받은 벤처펀드 투자기업 2332개사의 지난해 말 기준 고용 인원은 약 10만 명이었다. 투자 직전 연도 대비 3만5000명이 늘어 기업당 평균 15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 셈이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