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가르치는 선배 vs 배우는 선배, 누가 롱런할까[직장인을 위한 김호의 ‘생존의 방식’]

입력 | 2019-07-31 03:00:00


일러스트레이션 김충민 기자 kcm0514@donga.com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조직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25와 49의 중간 지점은 37이다. 차이가 있겠지만 25세에 취업했다고 치자. 고용정보원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직장인이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는 평균 나이는 49.1세다. 재취업에 성공하더라도 70%는 2년 안에 그만둔다. 그 중간인 37세는 주된 직장에서 일해 온 시간과 앞으로 일할 시간이 똑같은 시점이다. 40대가 되면 경험이 쌓여 일도 익숙해지고 보통 선배보다 후배가 더 많아진다. 얼마 남지 않은 직장 생활에 대한 불안을 느끼기도 한다.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이면서 직장인은 두 가지 전략을 펼치기 시작한다. 미국의 뉴로리더십연구소의 용어를 빌려서 설명해보자. 하나는 ‘입증하는(proving)’ 전략이고 또 하나는 ‘개선하는(improving)’ 전략이다. 전자의 목표는 직장 내에서 내가 남보다 더 낫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들은 직장 내의 구도를 승진과 탈락, 즉 이기고 지는(win-lose) 프레임으로 보기 때문에 경쟁적 태도를 취한다. 반면에 후자는 경쟁을 통해 남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이 속한 업계에서 전문가가 된다거나 하는 자기만의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심리적으로 경쟁과 성취 지향적 태도는 엄연히 구별된다.

경쟁적으로 자신을 입증하려는 전략을 선택한 사람보다 성취를 목표로 개선하는 전략을 취했던 직장인이 결국에는 더 나은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역설적이다. 무언가 입증하려는 직장인은 자신이 개선할 것이 별로 없으며 이미 경지에 올랐다는 것을 보여주려 애쓰기 때문이다. 조직을 떠나서 어느 쪽이 자기만의 직업을 갖고 살아갈 가능성이 높은지는 분명하다. ‘마인드셋’이라는 저서로 유명한 심리학자인 캐럴 드웩 교수는 전자를 고착형 마인드셋(fixed mindset), 후자를 성장형 마인드셋(growth mindset)이라 불렀다.

두 가지 전략이 직장 내에서 어떤 행동의 차이를 보이는지 좀 더 살펴보자. 첫째, 입증하려는 사람은 후배가 요청하지 않을 때에도 가르치려고 한다. 개선하려는 사람은 후배가 요청할 때에는 적극적으로 가르쳐 주지만, 평소에는 선배나 동료는 물론이고 후배에게도 배우려고 한다. 이러한 태도가 행동으로 드러나는 지점 중 하나는 두 유형이 후배에게 질문을 할 때다. 입증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자기보다 모른다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질문을 한다. “자네 이거 알아?” 같은 질문 말이다. 개선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으로부터 배우기 위한 겸손한 질문을 한다. “이 프로젝트를 다시 하게 된다면 우리가 혹은 내가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을까?” 같은 질문이다.

둘째, 입증하려는 사람은 익숙한 분야에만 머문다. 그것이 자신의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안전한 전략이며 새로운 분야에서는 자신이 무엇을 입증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반면 개선하려는 사람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을 갖는다. 어느 정도 경험과 지식이 쌓이면 새로운 분야의 지식과 연결하는 시도 속에서 창의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셋째, 입증하려는 사람들은 자신이 쉬지 않고 일한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상사가 휴가 갈 때가 아니면 휴가를 가지 않는다. 열심히 일한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개선하려는 사람은 자신에게 주어진 휴식시간을 최대한 활용한다. 때론 멈춰 서서, 낯선 환경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이들에겐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누구를 생각하며 썼는지 고백하며 마무리한다. 30대 직장인이다. 지난 20여 년간 입증하는 전략을 세우며 직장 생활을 해온 40대 중후반 직장인이 퇴직을 앞두고 갑자기 개선 전략을 시도하기란 쉽지 않다. 반면 30대 초중반에 자신이 입증하는 전략만을 써왔다는 것을 깨닫고 개선하는 전략을 취하고 싶다면 전환이 훨씬 쉽다. 이들은 직장 내부를 넘어 업계 전체로 시야를 확대하고 내가 이루고 싶은 성취 목표점을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입증하는 전략은 개선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 반면 개선하려는 전략은 결국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마련이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조직 커뮤니케이션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