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정은이 손에 쥔 또 하나의 ‘최종병기’ [하태원 기자의 우아한]

입력 | 2019-08-12 14:00:00


10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올해 들어 7차례 미사일을 쐈습니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고 판단했지만 북한이 신형전술유도탄이라고 밝혔던 그 발사체입니다.

7월 25일 이후 사나흘이 멀다하고 쏘아올리고 있는 미사일의 특징을 살펴봤습니다. 우선 사거리와 고도, 그리고 발사가 이뤄진 장소를 들여다봤습니다.

올해 들어 북한이 쏘아올린 발사체의 비행거리와 고도 및 발사위치. 8월 10일 북한의 추가 발사체는 함흥 일대에서 쏘아 올려졌고 발사거리는 대략 400km 정도였다고 합참이 밝혔다. 그래픽=뉴시스


5월 두 차례 발사는 각각 240km와 420km 270km를 날아갔습니다. 지난달 25일 쏜 발사체는 600km를 비행했고, 지난달 31일의 발사체는 250km 짜리 였습니다.

이달 들어서는 2일에 220km, 6일에 450km 그리고 어제는 400km를 날려 보냈습니다.

발사장소도 다양했습니다. △호도반도 △원산 △함흥 △영흥 등 동해안이 많았지만 구성, 과일같이 서해안 이라고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특히 과일에서 날아간 발사체는 처음으로 평양 상공을 통과하기도 했습니다.

왜 여기저기서 들쑥날쑥한 거리를 쏘아올리고 있을까요?

아산정책연구원의 신범철 안보통일센터장은 “기술적인 면에서 실전배치단계에 들어갔다는 점을 과시하는 동시에, 언제 어디서든 공격할 수 있다는 대남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형 무기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발사는 대략 10여 차례 내외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분석이 맞는다면 북한은 한미연합훈련기간 도중 3~4차례 미사일 발사를 더 할 가능성도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영상
[디브리핑]北, 신형무기 검증 시 10여 차례 시험발사…추가 도발 가능성


흥미로운 것은 2년 전에도 북한이 하루가 멀다 하고 미사일을 쏘아올린 적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도 도발을 멈추지 않았던 북한은 그해 5월부터 11월까지 무려 11차례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습니다.

지금과 달랐던 점은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나 문 대통령 모두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봤다는 점입니다. 발사 당일 양 정상은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통화를 했고,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즉각 개최됐습니다.

북한이 7차례나 단거리 발사체를 쏘아 올리는 동안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던 그 NSC 상임위원회가 즉각 열렸던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1월 29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로 양국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 청와대


미국이 신속하게 움직인 것 다 이유가 있습니다. 당시 북한이 고각으로 쏘아올린 신형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5형’은 1만3000km를 날아갈 수 있어 미국 전역을 사정권으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에 대해 ‘작은 것(smaller thing)’ 이라며 주권국가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라고 평가절하 했던 것과 달리 당시 미국 정부와 언론은 미국 안보에 대한 직접적 위협으로 간주했었습니다.

북한이 2017년 11월 29일 쏘아올린 화성 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의 발사고도와 비행거리(왼쪽 그래픽). 이 미사일은 최대사거리 1만3000km 이상으로 미국 본토 전역을 사정거리로 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2017년 11월을 기점으로 더 이상 ICBM 시험발사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공세로 나온 탓도 있지만 진짜 이유는 이미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탓에 더 이상 시험발사를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시험발사가 이뤄진 직후 북한의 리춘희 아나운서는 특유의 흥분된 어조로 이렇게 밝혔습니다.

“김정은 동지는 새 형의 대륙간탄도로켓 ‘화성-15’형의 성공적 발사를 지켜보시면서 오늘 비로소 국가핵무력 완성의 역사적 대업, 로켓 강국 위업이 실현 되었다고 긍지 높이 선포하시었다.”

2017년의 경험에 비춰볼 때 북한은 신형유도탄이 전술적 완성단계를 거쳐 실천배치 수준에 올라설 때 까지 단거리 발사체 도발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런 면에서 11일 북한관영매체를 통해 공개된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은 의미심장합니다. 시험사격을 ‘현지지도’ 한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지형 조건과 주체전법의 요구에 맞게 개발된 새 무기가 기존의 무기체계들과는 또 다른 우월한 전술적 특성을 가진 무기체계”라고 평가했다고 북한 매체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공개한 ‘김정은 친서’는 북-미 협상과 남북과계의 앞길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트럼트 대통령의 트윗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한미연합 군사훈련이 종료되는 대로 협상재개를 희망하고 있으며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면 미사일 발사도 멈출 것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김정은 위원장 친서의 내용. 김 위원장이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면 즉각 협상을 재개할 것을 원한다는 내용 등이 담겨있다.


저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는 시점까지 신형 KN-23을 포함한 단거리 전술무기의 시험을 마무리 지은 뒤 다시 한 번 대화공세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대화가 지지부진한 동안 북한식 자위력 보강이 한 단계 높은 단계로 나아갔으니 다시 한 번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핵 담판’에 나서겠다는 것입니다.

불행히도 이 단계에서 한국과 문재인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역할은 그리 많지 않아 보입니다. 일본과의 ‘경제전쟁’ 와중에도 “남북간의 경제협력으로 평화경제가 실현된다면 ‘단숨에’ 일본경제의 우위를 따라 잡을 수 있다”고 한 문재인 정부에게는 뼈아픈 결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8월 15일날 나올 광복절 기념사의 내용이 더 궁금해 졌습니다.

하태원 채널A 보도제작팀장(부장급·정치학박사 수료) triplet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