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지 피해실태 심포지엄 달리는 징용 열차서 뛰어내리고 파업-비밀결사 등 조직적 투쟁
2012년 국회에서 열린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피해 관 련 사진전. 동아일보DB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도형)과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조광),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안병욱) 등 주요 역사연구기관은 일제 식민지 피해 실태와 과제를 조명하는 심포지엄을 4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공동으로 개최한다. 미리 공개한 심포지엄 발표문에서 노영종 국가기록원 연구관은 “조선인은 파업, 태업, 무력행사 등의 노동쟁의를 비롯해 다양한 방식으로 강제동원에 저항했다”고 말했다.
노 연구관은 발표문 ‘충남지역 강제동원 현황과 거부투쟁’에서 “조선인은 강제동원 현지뿐 아니라 숙박지와 기차역, 달리는 열차 등 동원 과정에서 끊임없이 탈출했다”면서 “집단 탈출은 일제의 전력(戰力)을 약화시키기 위한 독립운동 방략으로 적극적인 저항의 형태였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에서는 이밖에도 남상구 동북아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장이 ‘일본의 전후 처리와 식민지배에 대한 역사인식’을, 박정애 동북아재단 연구위원이 ‘조선총독부 자료를 통해 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발표한다.
박정애 연구위원은 발표문에서 일본군 ‘위안부’ 자료 연구에 대해 조언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가 반드시 위안소나 ‘위안부’라는 용어와 함께 자료에 기록된 것은 아니고 관할 경찰이나 헌병대에 대좌부(貸座敷), 요리점으로 등록돼 관리됐어도 사실은 공공연하게 위안소라 인식된 경우가 있다”며 “시기, 지역, 정치 상황별 실정을 이해하고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치밀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