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D(디플레이션)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19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1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104.85) 대비 0.04포인트 낮아졌다. 물가 상승률은 -0.04%다.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나온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5년 이래 처음이다.
통계청은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저조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농산물은 올해 봄~여름 기상 여건이 좋아 공급이 원활했는데 채솟값이 폭등했던 전년의 기저 효과까지 겹쳐 물가를 낮췄다는 것이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난달 물가 상승률에 농산물은 -0.53%포인트, 석유류는 -0.30포인트만큼 기여했다”며 “외부 요인이 큰 농산물 가격과 유가에 의해 지수에 큰 변동이 있었다”고 말했다.
첫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을 두고 이 과장은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소비 부진의 영향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일시적이고 정책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2%대의 경제성장률 기록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디플레이션을 논하기는 이르다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도 디플레이션 발생 우려를 진화하고 나섰다. 김용범 기재부 제1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긴급 거시정책협의회를 열어 한국은행과 물가 상황을 판단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뒤 “디플레이션은 아니다. 연말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0%대 중후반 수준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최근 저물가 상황이 일본과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일본에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했을 때를 보면 부동산 등 자산에 상당한 거품이 있었고 (그게 꺼지면서) 주식 등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컸다”며 “한국은 부동산과 금융 시장에 거품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변동성이 초래될 가능성도 작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물가 하락이 디플레이션 전조현상일 수 있다고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GDP(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가 3분기 연속 하락하고 소비자물가지수도 마이너스라는 건 수요 부진에 따른 디플레이션이 이미 진행중이라는 것”이라며 “명목 GDP가 더 떨어져 정부가 세수 확보에도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기업의 수입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경기 하락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19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1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104.85) 대비 0.04포인트 낮아졌다. 물가 상승률은 -0.04%다.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나온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5년 이래 처음이다.
통계청은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저조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농산물은 올해 봄~여름 기상 여건이 좋아 공급이 원활했는데 채솟값이 폭등했던 전년의 기저 효과까지 겹쳐 물가를 낮췄다는 것이다.
첫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을 두고 이 과장은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소비 부진의 영향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일시적이고 정책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2%대의 경제성장률 기록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디플레이션을 논하기는 이르다는 설명이다.
기획재정부도 디플레이션 발생 우려를 진화하고 나섰다. 김용범 기재부 제1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긴급 거시정책협의회를 열어 한국은행과 물가 상황을 판단하고 대응책을 논의한 뒤 “디플레이션은 아니다. 연말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0%대 중후반 수준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최근 저물가 상황이 일본과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일본에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했을 때를 보면 부동산 등 자산에 상당한 거품이 있었고 (그게 꺼지면서) 주식 등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컸다”며 “한국은 부동산과 금융 시장에 거품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변동성이 초래될 가능성도 작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물가 하락이 디플레이션 전조현상일 수 있다고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김진하 동아닷컴 기자 jhjin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