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한국기상협회 이사장
우리나라에서는 이렇듯 태풍을 ‘대풍(大風)’이라 불렀다. 중국은 바람이 강하고 방향이 빙글빙글 돈다고 하여 ‘구풍(颶風)’이라 했다. 태풍(颱風)은 1906년 처음 사용됐다. 일본 학자들이 태풍의 영단어 ‘typhoon’과 발음이 비슷한 한자 단어로 태풍을 만들었다.
우리나라 말로 태풍을 ‘싹쓸바람’이라고 부른다. 땅 위의 모든 것을 싹 쓸어갈 정도로 강한 바람이어서다. 이처럼 세계 모든 문화권에서 태풍신은 엄청난 힘을 가진 신으로 그려진다.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은 삼지창을 들고 땅과 바다를 가르는 태풍을 부른다. 일본신 스사노오는 태풍과 큰 물결을 일으킨다. 마야 신화에서는 우라칸이 태풍신이다. 미국에서 태풍을 허리케인이라 부르는 것은 여기에서 유래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30년간의 분석 결과 태풍의 에너지 최강 지점이 중위도로 북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제임스 코신 NOAA 연구원은 “한국과 일본이 큰 위험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태풍이 가장 강해지는 지점이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수년 안에 한국과 일본의 태풍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거다.
이와 비슷한 결과로 제주대 문일주 교수는 최근 58년간 자료 분석에서 중위도 태풍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해수 온도 상승으로 태풍의 기압이 점점 하강하고 있다고 말한다. 해수면 온도 상승, 태풍 기압치의 하강, 태풍 최강 에너지 지점의 중위도 북상 등은 슈퍼태풍이 한반도를 강타할 가능성이 매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태풍 ‘링링’이 우리나라를 향해 북상하고 있다. 필자가 글을 쓰는 시간의 기상청 예보로는 7일 새벽에 제주를 지나 전남 목포 서쪽 해상, 그리고 경기만을 거쳐 옹진반도 쪽으로 상륙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우리나라는 태풍의 위험반원에 속하게 된다. 이동 속도가 빠르고 상층부 바람의 수직 변화가 적어 태풍의 세력이 약해지지 않고 북상할 가능성이 높다. 비슷한 경로로 북상했던 2010년의 곤파스나 2000년의 쁘라삐룬보다 피해가 훨씬 더 클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2004년 이후에 우리나라로 링링보다 강한 태풍이 북상한 사례가 없다. 강한 태풍은 일본이나 중국에 주로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이번에 정말 강한 태풍이 온다. 링링은 홍콩에서 제출한 소녀 이름이다. 소녀 링링이 뿔난 것은 왜일까? 혹시 말이다. 최근 홍콩 사태 및 우리나라 여러 형편과 연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바보(?) 같은 생각을 해 본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한국기상협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