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신생아 몸에서 탯줄이 떨어지는 시기는 출생 후 짧으면 3일, 길면 2개월까지로 보고되고 있다. 보통 생후 14~15일 전후로 탯줄이 떨어진다. 탯줄은 어머니의 태반을 통해 뱃속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노폐물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끈 모양의 신체기관이다.
탯줄이 오랫동안 신생아 배꼽에 남아있으면 감염되거나 배꼽 부위를 자극해 출혈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반면 탯줄이 떨어지지 않고 3~4주일 이상 남아있으면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아이 몸에서 배꼽이 떨어질 때 기저귀에 피 몇 방울이 떨어질 수 있으나, 이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배꼽에서 계속 피가 나오면 즉시 소아전문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혜경 경희대병원 소아외과 교수는 “신생아는 탯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치명적인 감염사고가 발생한다”며 “배꼽에서 진물이 나오면 아이가 아파할 수 있으며, 심하면 배꼽 주변까지 부어오르고 피부가 붉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모들이 신생아 배꼽을 관리할 때는 손소독부터 해야 한다”며 “물비누 등을 이용해 아기를 목욕시킨 뒤 탯줄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서 잘 마르는지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배꼽 탈장도 부모들이 눈여겨볼 증상 중 하나다. 신생아의 배꼽이 튀어나올 때는 대부분은 배꼽 탈장으로 진단하기 때문이다. 배꼽은 탯줄이 태아의 배 안으로 들어가는 통로이다.
신생아들은 태어나기 전에 이 통로가 막힌 채 태어난다. 만약 배꼽이 닫히지 않고 태어날 때는 탈장 치료를 받게 된다. 배꼽 탈장을 대부분 치료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낫는다. 다만 증상이 심할 때는 수술이 필요하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