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윤 잡지 에디터
직원의 이직을 대하는 상사의 대응 방식은 천차만별이다. 내가 거쳐 온 상사들만 해도 반응이 다 달랐다. 개중에는 화를 낸 사람도 있었다. 계약서에 명시된 퇴사 절차를 어긴 것도 아니요, 시기적으로 무책임한 편도 아니었으니 그가 표출한 분노의 정체는 ‘괘씸함’이었을 것이다. 출산을 앞둔 직원을 그냥 잘라버린 적 있는 회사가 직원들에게 어떤 수준의 도의를 기대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나는 그가 책상을 ‘탕’ 치며 요구한 대로 과도한 양의 업무를 떠안았고, 퇴사 처리가 끝난 후에도 몇 소일거리를 처리해 주었다.
의외로 담담히 받아들이는 상사도 있었다. 표면상으로는. 그는 몰래 나의 직속 선배에게 ‘성윤 씨가 처리한 업무 결재를 계속 반려하라’고 주문했다. 퇴사 예정일까지 두고두고 괴롭힐 속셈이었던 것이다. 계획은 성공했으니 그 한 달간 나는 참 괴로웠다. 결국 퇴사 며칠 전에야 나는 더 이상 수정 작업을 할 수 없노라 통보했다. 선배가 숨은 뒷사정을 털어놓은 후에. 해당 기업에서 맡은 바 소임을 다했다고 믿은 내가 뻔뻔한 걸까? 상사의 시각에는 그랬던 듯하다. 그가 업계에 퍼뜨린 나의 험담으로 파악하자면 말이다.
가장 최근에 치른 퇴직 풍경은 이랬다. 상사는 당혹스러워하다가, 진행 상황과 재고 가능성을 묻고, 말을 할 듯 말 듯 점점 우물거렸다. 그리고 결국 이런 질문을 내놨다. “그래도 함께 일하는 동안 재미는 있었죠?” 앞선 경험들을 통해, 나는 알았다. 그게 쉬이 나온 말이 아님을. 배신감과, 인력 공백에 대한 중압감과, 상부 보고에 대한 걱정이 눈앞을 가리고 있을 것임을. 나는 재미는 물론이고 많은 것을 배웠노라 성심으로 답했다. 물론 어느 직장에서나 재미와 배울 점은 있을 터. 유독 절절히 곱씹을 수 있었던 것은, 우리가 함께 일한 시간에 예의를 갖추려 노력해준 그의 덕택일 것이다. 미처 그 말을 전하지 못했기에, 여기에 써둔다.
오성윤 잡지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