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에듀칼럼]한전공대는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입력 | 2019-10-15 03:00:00


한전공대(가칭) 설립을 두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찬성 측은 에너지 분야 인재 양성과 지역균형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대 측은 올해 말로 부채만 59조여 원에 달할 한전이 대학을 설립할 여유가 없는 데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기존 대학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에서 추가 투자는 문제라고 반박한다.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기자는 한전공대 설립이 긍정적인 효과가 더 많다고 본다. 첫째로 ‘대학 주도 성장’에 한전공대가 많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춘 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이 가능한 상태에서 대학의 수준 높은 연구개발 능력과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지원이 더해진다면 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남 나주혁신도시는 대학 중심 지역균형개발의 모범사례가 될 수도 있다. 현재 국내에선 지역에 대학이 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지자체가 대부분이다. 남원 서남대와 동해 한중대의 폐교는 해당 대학이 있던 지역의 황폐화 등 많은 부정적 결과를 낳았다. ‘대학 주도 성장’은 사회간접자본(SOC) 위주의 성장보다 가성비도 좋아 지역균형개발에 적합한 정책이다.

둘째로 지적하고 싶은 점은 한전공대가 추구하는 혁신적 교육 모델은 한국 대학과 한국 교육을 바꾸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전은 한전공대가 학생 선발, 교육, 연구, 산학협력 등에서 한국 대학들이 가지 않았던 길을 가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한전공대는 세계적 혁신 대학인 ‘미네르바 스쿨’, ‘ECOLE 42’를 뛰어넘은 혁신성으로 한국 대학의 환골탈태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계획대로 한전공대가 세계적 수준의 공대로 성장한다면 KAIST나 포스텍 등과 건강한 경쟁 구도를 조성하고, 주입식 교육에만 의존하는 초·중등교육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셋째로 미래 먹거리인 에너지 산업을 주도할 인재 양성이라는 당면 과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 에너지 산업은 대한민국의 혁신성장을 선도할 8대 산업 중 하나이다. 2030년까지 세계 원전시장 규모는 1030조 원이고, 에너지 신시장은 무려 3경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신시장 관련한 기술 수준이 선진국보다 무려 4.5년이나 뒤처져 있다. 우수 인재 육성을 통해 이 격차를 줄여 나가야 한다.

독일이 자랑하는 세계적인 제조업 기술력은 아헨 공대와 베를린 공대, 뮌헨 공대 등 9개 공대들로 구성된 TU 9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분석이 많다. TU 9이 배출한 인재는 독일 제조업을 이끌고, 세계를 무대로 국부를 늘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한전공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인도할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다. 이런 시각에서 정치권이나 민관 모두 한전공대 설립 문제를 다뤄보길 기대한다.

이종승 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