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약개발 ‘별따기’ 한국,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땐 돌파구”

입력 | 2019-10-25 03:00:00

본보-채널A ‘동아모닝포럼’
글로벌 제약사-AI기업 협업 늘어… 몇년 걸리던 연구디자인 45일 끝내
나라마다 질병 상황도 달라… 규제 풀어야 정밀 신약 가능해져




2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0회 동아모닝포럼에서 이동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AI)신약개발지원센터장, 김영옥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국장,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사장, 손문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장(왼쪽부터)이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글로벌 신약 시장 점유율이 1.2%에 불과한 한국이 기존 방법으로 글로벌 기업을 이기기는 진짜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 제약업체가 가진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활용하면 말입니다.”

24일 동아일보와 채널A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제10회 동아모닝포럼에서 이동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장이 힘주어 말했다.

신약 개발의 여정은 험난하다. 임상시험 중 92%가 실패한다. 신약 하나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은 최소 26억 달러(약 3조 원)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하면 개발 기간이 단축되고, 성공률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동아모닝포럼에서는 ‘AI 시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신약 개발 전략’을 주제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박제균 동아일보 논설주간,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이 센터장, 김영옥 식약처 의약품안전국장, 손문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장,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사장, 김완규 이화여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빅데이터를 만나 신약 개발 사이클이 빨라지는 여러 사례를 접했다.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미리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 처장은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차세대 주력 산업으로 선정했고,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며 “AI를 활용해 효율적이고도 안전한 신약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 교수는 “최근 주요 글로벌 제약사와 AI 기업의 협업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2, 3년 걸리던 연구 디자인 과정을 최근 45일 만에 끝낸 사례도 나왔다고 했다. 김 교수는 “개발 초기 단계에서 AI를 이용해 후보 물질의 기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 임상시험 실패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제약바이오 산업과 정보기술(IT)의 융합이 확산되면서 이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테크 공룡들은 바이오기술(BT) 시장과의 접점을 늘려 나가고 있다. 한국도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트가 선정한 글로벌 헬스케어 AI 스타트업 90개 중 한국 기업이 5개에 이를 정도로 제약바이오와 IT 간 협업에 관심이 높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AI신약개발지원센터가 생겼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도 AI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한국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이 효과를 보려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신테카바이오의 김 사장은 “한국은 주요 병원의 의료 데이터를 모으는 것 자체가 어렵다. 10개 이상의 규제에 막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정보(데이터)를 공유해 더 나은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한국은 위암, 미국은 피부암 등 나라별로 질병의 상황이 다르므로 규제를 풀어 의료 데이터 분석을 통해 더 정밀한 신약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