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어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만나 ‘양국 간 현안의 조속 해결’을 희망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회담했다. 두 총리는 회담에서 “한일 양국은 중요한 이웃 국가로서 한일관계의 어려운 상태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며 갈등 해결 의지를 다졌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일,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이후 한일 최고위급이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담에서 이 총리는 “한일관계 경색을 조속히 타개하기 위해 외교당국 간 대화를 포함한 다양한 소통과 교류를 촉진시키자”고 촉구했다. 아베 총리는 “국가 간 약속은 지켜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밝히면서도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당국 간 의사소통을 지속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이 총리는 “1965년 한일기본관계조약과 청구권협정을 존중하고 준수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못 박아 그간 ‘한국이 한일관계의 기반인 1965년 협정을 부정하려 한다’는 일본의 의구심을 불식했다. 양국은 ‘면담’ 대신 ‘회담’이라고 용어를 통일하는 등 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는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강제징용 판결 이후 한일관계는 얼어붙었다.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협정으로 청구권이 소멸했다며 이 판결이 국제법 위반이라는 주장을 반복했고, 한국 정부는 3권 분립의 원칙상 사법 판결에 정부가 관여할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 7월 초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작하고, 8월 22일 한국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선언을 하면서 양국 간 갈등은 역사에서 경제, 안보 분야로까지 확산됐다.
무엇보다 가까운 시일 내에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킬 필요가 있다. 10월 31일부터 태국에서 열리는 동남아국가연합(ASEAN)+3, 11월 16, 17일 칠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의 장을 활용해 한일 정상이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총리는 9월부터 지소미아 복원과 수출규제 해제의 동시해결을 주장해왔다. 양국 정부는 강제징용 해법을 모색함과 동시에 다음 달 23일 종료되는 지소미아의 복원과 일본의 수출규제 해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통 큰 해법’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