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책의 향기]세계의 교육현장에서 찾은 미래 학습법

입력 | 2019-10-26 03:00:00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알렉스 비어드 지음·신동숙 옮김/560쪽·1만7800원·아날로그




18세기의 산업혁명은 수많은 육체노동자의 일자리를 가져갔지만 이후 더 많은 사무직 일자리가 생겨났다. 교육의 발전이 이에 맞춤한 인력을 제공했다. 오늘날엔 많은 지적 노동이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고 있다. 지금의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현재의 교육체계는 미래의 인재를 길러내기 적합한 도구인가.

저자는 미국과 유럽과 아시아 곳곳의 신개념 교육기관을 찾아다니며 이에 대한 해답을 모색한다.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며 공부하는 미국 새너제이의 페르자 초등학교, 소외계층 청소년들에게 최고의 성취를 독려하는 영국 킹 솔로몬 아카데미, 프랑스의 정보기술(IT) 인재 전문교육기관 에콜42, 학생들의 협력을 강조하는 미국 케임브리지의 와일드 로즈 몬테소리 등을 돌아본다. 각 학교의 철학에 밑받침이 되는 근거와 이론들도 꼼꼼히 점검한다.

책 후반부에서 저자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20세기 후반 정보통신의 혁명은 교육의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도구에 불과했다. 100년 전 에디슨도 ‘활동사진은 교육 체계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21세기에는 ‘1만 시간 법칙’이 강조됐지만 창의 없는 1만 시간은 앞선 1%를 쫓아가는 99%만 양산했다. 1만 시간을 견딜 수 있는 흥미와 관심이 선행돼야 한다. 여기에 교사의 중요성이 있다. 교사가 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첫 보고는 실망스럽다. 세계 각종 교육 지표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지만 학생들은 지쳐 있었고 교사들도 그랬다. “한국 학생들은 그들의 학교 제도 ‘덕분’이 아니라 ‘에도 불구하고’ 성과를 거뒀고, 그 배경에 학원이라는 비밀 병기가 있었다.”

저자는 파주에 있는 한 교육 네트워크에서 미래의 비전을 본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핀란드나 미국의 여러 학교처럼 자발적으로 문제의 해답을 모색한다.

그런 이상은 한국에서 제대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인가. 저자가 발로 뛰어 찾아낸 세계의 특징 있는 학교들은 저마다의 창의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기존의 한계 내에서 이뤄진 자율형 교육마저 다시 획일화하려는 바람이 불고 있다.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gustav@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