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포털사이트 다음의 연예뉴스에서 댓글 기능을 이달 안에 없애고, 인물을 검색할 때 자동으로 뜨는 관련 검색어 제공과 검색어 제안 서비스도 중단하기로 했다. 실시간 검색어(실검) 순위 서비스도 검색량 증가율이 높은 키워드를 보여주는 현행 방식에서 벗어나 재난이나 대형사건, 사고 등 시의성 높은 이슈를 반영하는 서비스로 내년 상반기 중 개편하기로 했다. 가수 겸 배우 설리(본명 최진리)의 죽음을 계기로 악성 댓글의 폐해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뒤늦게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네이버가 2004년 처음 댓글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누리꾼 사이에서는 댓글이 여론의 다양성을 키우는 건전한 공론의 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대형 포털의 뉴스 댓글은 누리꾼들이 쏟아내는 혐오스러운 감정의 배설물로 심각하게 오염된 지 오래다. 찬반이나 우호·비우호의 차원을 넘어선 비방과 험담 등 인신 모독적 내용을 담은 ‘악성 댓글’은 피해자의 정신을 망가뜨려 죽음에 이르게 하는 폭력이다.
악성 댓글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된 데에는 플랫폼 관리를 소홀히 한 포털의 책임이 가장 크다. 포털은 뉴스 댓글의 해악이 문제가 될 때마다 로그인 후 이용하기, 신고하기 등 땜질식 대책을 내놓거나 뉴스를 공급하는 언론사에 책임을 넘기는 데 급급했다. 국내 최대 포털 업체 네이버가 설리의 죽음 이후 “뉴스 댓글에 대해 언론사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무대책으로 버티는 것은 비근한 예다. ‘표현의 자유’를 핑계로 누리꾼들이 익명성 뒤에 숨어 댓글을 달도록 허용하고, 이를 통해 트래픽 증가라는 상업적 이득을 누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