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훈·대구경북취재본부
포항시는 올해 시(市) 승격 70년을 계기로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100년을 열겠다는 각오다. 시민들은 스스로 자긍심을 높이고 결속을 강화하는 화합의 한 해를 만들겠다며 서로를 다독이는 분위기다.
시 승격 70년을 축하하듯 포항은 ‘희망 미래’를 기대하는 굵직한 사업들을 유치하거나 추진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신약 개발 클러스터 조성, 인공지능(AI) 및 바이오 연구 주거 산업 문화를 집적화하는 강소연구개발특구 추진이 대표적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이 역점을 기울이는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도시재생의 새 모델도 기대를 모은다. 이 시장은 최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일본 요나고(米子)시 등을 오가며 환동해권 도시들과의 교류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반면 구미시는 최근 마련한 구미공단 50년 기념행사 때부터 논란에 휩싸였다. 시가 제작한 홍보영상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을 뺐다가 거센 항의를 받았다. 업체의 실수라는 해명에도 비난 여론은 잦아들지 않았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26일 박 전 대통령 40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박 전 대통령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후대의 몫”이라고 해 기름을 부었다.
한때 내륙의 최대 생산수출기지였던 구미공단의 현주소는 딱하다. 올해 1분기 가동률은 65.9%로 전국 평균 76.9%를 한참 밑돌았다. 2013년 367억 달러였던 구미의 수출액은 지난해 258억 달러로 5년 만에 30%가량 줄었다. 공단에는 매매와 임대를 알리는 현수막이 넘쳐 난다.
여기에 올 상반기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실패는 시민들에게 실망감을 줬다. 이렇다 할 뚜렷한 성과가 없다가 최근 노사민정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인 ‘구미형 일자리’가 시동을 걸었지만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포항시와 구미시가 경북 최고(最高) 도시를 놓고 벌인 자존심 대결은 늘 예상을 뛰어넘었다. 선의의 경쟁은 새 역사를 만들었고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그러나 지금은 소속 정당이 다른 단체장의 행보부터 그렇지 못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고 도시들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는 현실이 안타까운 이유다.
장영훈·대구경북취재본부 j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