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자확인-범죄현장 감식수단 넘어 유전질환 발병 가능성 알려주고 운동-음식처방 등 맞춤서비스 제공 규제 완화로 개인이 직접 의뢰 가능, 항목은 운동-혈통 등 57개로 확대 “유전질환, 환경에 영향 많이 받아… 결과에만 너무 의존해서는 안 돼”
유전자 검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깊숙이 우리 삶에 들어와 있다. 친자 확인뿐만 아니라 범죄현장 감식에서도 유전자 검사가 필수가 된 지 오래다. 질병이 발병할 가능성을 알려주고 더 나아가 유전자 분석으로 맞춤형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서비스까지 속속 나오고 있다.
각양각색 유전자 검사로 개인 맞춤형 시대
유전자 검사는 사람이 갖고 있는 DNA 지도를 알 수 있는 검사다. 할리우드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 관련 유전자(BRCA) 검사를 한 뒤 유방 절제 수술을 받았다는 것은 이미 유명한 이야기다. 유효진 엔젠바이오 헬스케어사업본부 이사는 “과거에는 질병 유발 가능성을 알기 위해 유전자 검사가 주로 사용됐다”며 “하지만 헬스케어 트렌드가 치료에서 예방, 건강관리로 변화하면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유전자 검사가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이사는 “정보를 미리 수집해 위험도를 예측하고 건강한 미래를 준비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유전자 분석 업체들도 앞다퉈 각종 소비자 맞춤 서비스를 개발, 출시하고 있다.
모든 사람에게 걷기나 등산이 효과적인 운동일까. 한 바이오 업체는 “유전자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고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까지 해주는 토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유전자 분석으로 자신에게 맞는 운동습관이나 음식을 찾아 체중감량 성공 확률을 높인다거나 타고난 피부 타입을 알아내 적합한 화장품을 찾아주는 프로그램 등 이미 상용 중인 서비스도 적지 않다.
그렇다면 유전자 검사로 나의 유전 정보를 얼마나 알 수 있을까. 유전자 분석으로 탈모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 모기에 잘 물릴 타입인지 아닌지, 타고난 키와 성격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BBS12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모기에게 물릴 확률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는 ‘소비자 직접 의뢰(DTC) 유전자 검사’가 가능한 대상을 2015년 12월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2개 항목과 관련된 46개 유전자로 제한했다. 혈당·혈압·탈모·피부 노화·콜레스테롤 등 주로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것들이다. DTC 유전자 검사는 소비자가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에 직접 의뢰해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는 제도다. DTC 검사로 자신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됐다는 후기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시범사업을 통해 서비스 검사 항목도 확대했다. 그렇다고 당장 친자 확인까지 집에서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추가로 허용되는 항목은 과학적 근거가 충분히 검증됐다고 판단된 57개 항목이다. 주로 웰니스 위주의 영양소, 운동, 피부·모발, 식습관, 개인 특성, 건강 관리, 혈통 등이다.
유전자 서비스, 아직 풀어야 할 숙제 많아
DTC 서비스는 예방의학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시장조사 전문업체 크리던스리서치는 2014년에 656억 원이던 세계 DTC 시장 규모가 2022년에는 4053억 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에서는 DTC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정부의 이번 완화된 규제안도 그런 요구에 고심해 내놓은 방안이다.
유전자 분석 업체들도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개인정보의 관리, 사기업이 개인의 유전 정보를 보유했을 때 우려되는 각종 문제에 대한 신뢰 유지가 필요하다. 윤리적인 논란도 있다. 치료 방법이 없는 유전질환을 발견했을 때 불안감을 조성한다거나 유전 결과에 너무 의존하게 되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홍창범 엔젠바이오 SW개발본부 이사는 “유전자 분야는 아직 모르는 것이 많은 미지의 세계”라며 “비만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몇몇 유전자로 비만 가능성을 예측하지만 비만은 환경적인 요인도 적잖게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홍 이사는 “유전자 분석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앞으로 밝혀봐야 할 것이 더 많은 분야인 만큼 분석 결과가 자신의 모든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