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단체, 文정부 첫 공동회견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주요 경제관련법의 조속 입법화 촉구’ 기자회견에서 입장문을 읽고 있다. 이날 경총 등 경제 5단체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주 52시간 근무제 보완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이 회사는 지난해 초에 지방에서 공사 계약을 맺었다가 지난해 7월 주 52시간 근로제가 시행되면서 공기를 못 맞추고 있다.
한 염료 제조업체 대표는 “올해 시행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법(화평법)에 따르면 연간 1t 이상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모든 화학물질을 사전에 등록해야 한다. 컨설팅을 받아 보니 등록 비용이 물질당 수천만 원에서 1억 원까지 나왔다”며 “법을 고치거나 정부에서 지원해주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폐업까지 생각해야 할 판”이라고 했다.
특히 연구개발(R&D)이 핵심인 전자, 반도체, 바이오, 제약업계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보완법안으로도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국내 한 제약기업의 대표는 “신약 개발은 최소 주 80시간의 집중노동이 6개월 이상 필요하다”며 “국회 논의가 잘돼 탄력근로제가 확대되더라도 노사합의 등 절차가 복잡해 실효성이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해야 국내 R&D 기업의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해 말 유예기간이 종료되는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은 관련 중소기업들의 발등의 불이다.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자체 조사해 보니 화관법을 지키기 어렵다는 기업이 43%에 이른다. 안전 기준이 72개에서 5배 이상인 413개로 늘어나는데 영세한 기업들이 갑자기 이런 비용을 어떻게 감당하나”라고 했다.
경제단체들은 급격히 도래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성장동력을 확보하자는 구호만 난무하면서 실제로는 데이터 규제 완화 관련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보호법)은 사실상 국회에서 논의조차 안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준동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을 가장 빨리 시작했지만 여러 법으로 발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들이 앞서가고 있다”며 “긴 안목에서 기업이 돌아가게 하는 길을 터줘야 한다”고 말했다.
유근형 noel@donga.com·허동준·김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