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이코노미 시대 변해야 살아남는다] <2> 세계로 번지는 ‘저패니피케이션’ 침체의 늪에 빠진 지방 도시들
지난달 30일 찾은 도쿄도 서북부 오쿠다마는 한낮임에도 불구하고 거리에서 인적을 찾기 힘들었다. 니시타마=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지난달 30일 도쿄 신주쿠에서 기차를 타고 2시간가량 걸려 도착한 도쿄도 외곽 오쿠타마. 지역 토박이 쓰기야마 이치로 씨(75)는 고향에 대해 푸념하며 이같이 말했다. 탄광업과 벌목업으로 먹고살던 오쿠타마에 활력이 줄기 시작한 것은 ‘경제버블’이 꺼지고 난 1990년대 이후부터다. 목재 수요가 줄어들어 지역 경제가 쇠퇴하고 일자리도 줄어들자 젊은층은 도쿄로 떠났다. 1990년 8750명이던 오쿠타마 인구는 지금 5000명 정도로 쪼그라든 상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그중 2500여 명으로 절반에 달한다. 반대로 아이들은 줄어 이곳 중학교 2곳 중 1곳이 문을 닫았고 고등학교는 아예 없다. 오쿠타마 청년정착추진과 직원 쓰루마키 씨는 “오쿠타마 전체 주택 2500여 채 중 488채가 빈집”이라고 말했다. 오쿠타마를 포함해 일본 전체의 빈집 수는 2003년 659만 채에서 지난해 1078만 채로 불어났다.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금리가 0(제로)에 수렴하는 제로 이코노미가 지구촌을 휩쓸면서 일본식 장기 저성장 구조인 저패니피케이션(Japanification·일본화)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미국 등 많은 선진국들에선 제2, 제3의 오쿠타마가 생겨나는 중이다.
○ 지방을 먼저 덮친 저패니피케이션
프랑스 북서쪽 시골마을 포트 브리예. 경기 둔화로 지역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최근 이 마을에 있던 마지막 카페가 문을 닫았다. 이 마을 사람들은 “카페가 없어지다 보니 마을이 거의 죽은 것 같다”는 말을 한다. 프랑스 정부에 따르면 1970년대 20만 개에 달하던 카페는 4만 개로 급감했다. 지역경제가 붕괴수준에 들어가자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문을 닫거나 경영난에 시달리는 지역 카페들을 살리기 위해 1억5000만 유로(약 1940억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마을에 있던 중학교도 최근 학생 수 감소로 문을 닫고 현재는 외국인들을 위한 ‘일본어학당’으로 쓰이고 있다. 이 마을은 1990년대 이후 주력 산업이었던 목재수요가 감소하면서 지금은 그때에 비해 인구가 40% 이상 줄어들었다. 니시타마=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한때 호황을 누렸던 유럽 지방의 성장 엔진은 주력산업이 쇠락하고 동네 주민들이 떠나가면서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 기업들이 싼 인건비를 찾아 터키, 인도, 중국 등으로 공장을 옮기며 일자리가 줄어서 생긴 현상이다. 새로운 기업이 투자를 하고 신산업이 살아나야 하지만 글로벌 경제가 동반 침체에 접어든 지금은 쉽지 않은 일이다.
○ 탈출구 없는 ‘J의 공포’
각국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저패니피케이션을 피할 만한 뚜렷한 대응 수단이 없다는 게 문제다. 금융연구원은 11일 보고서에서 “세계 각국 정책입안자들은 한목소리로 일본화에 진입하게 되면 경기부양 수단이 없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도 통화완화 등 거친 부양책으로만 이 문제를 해결하려다 오히려 장기침체가 더 깊숙하게 뿌리내리는 부작용을 낳았다.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과감한 구조 개혁이 없이 고령화와 디플레이션을 상대한 게 일본화의 탈출을 어렵게 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일본이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오히려 금융회사 수익성만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 일본 지방은행은 수년째 계속된 수익 감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中 고속발전 도시들에도‘마이너스 성장’ 그림자 ▼
취저우, 올 상반기 성장률 ―0.37%… 고령화 탓 유효수요 증가율 하락
사람 살지않는 유령도시도 50여곳
실제로 지방 소도시 중에는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인구가 유출되는 곳이 적지 않다. 초기 개혁개방의 수혜 지역인 저장(浙江)성의 취저우(衢州)는 올해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0.37%였다. 광산 자원이 풍부해 한때 고속 성장을 거듭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자원 고갈 등으로 주요 산업인 화학 원료 및 제품 제조업이 무너졌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전체 인구(2017년 257만 명)의 17%인 45만 명이 올해 취저우를 떠났다.
물가 추이도 심상치 않다. 9월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 하락해 7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생산자물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인식되기 때문에 마이너스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통상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해석된다. 중국 역시 ‘구조적 장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남의 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져 온 6.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이미 올해 3분기(7∼9월) 성장률이 27년 만에 가장 낮은 6.0%에 턱걸이했다.
중국의 성장 둔화는 △경제구조 고도화로 고속성장에서 중속(中速)성장 구간으로 진입 △고령화 등으로 중국 내 유효수요 증가율 하락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타격 등이 1차적인 원인이다. 여기에 구미 선진국의 경기 침체로 미국을 대신할 수출 지역이 제한돼 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정·통화정책을 추가로 동원하는 데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선진국 시장의 부진이 개발도상국으로 전이되는 경로에서 중국도 예외가 아닌 것이다.
:: 저패니피케이션(Japanification·일본화) ::
경제 구조가 일본처럼 장기 불황형으로 바뀌는 상황을 말한다. 저성장, 고령화, 디플레이션의 결과로 경제 활력 저하, 국가 부채 증가, 지방 도시 공동화, 미약한 내수 등의 모습을 보인다.
특별취재팀
▽팀장 유재동 경제부 차장 jarrett@donga.com
▽경제부 조은아, 도쿄·사이타마=장윤정 기자, 런던·리버풀=김형민, 프랑크푸르트=남건우, 코펜하겐·스톡홀름=김자현
▽특파원 뉴욕=박용, 파리=김윤종, 베이징=윤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