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수능 3등급’ 연대 의대 합격…대입 공정성 논란 불붙여

입력 | 2019-11-19 11:23:00

뉴스1 DB © News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종료 직후 수험생 A군이 입시 커뮤니티에 올린 대학 합격 수기가 대입 공정성 논란에 불을 붙이고 있다.

해당 합격기는 수능 성적 위주의 정시전형으로 대입을 치렀으면 사실상 합격이 불가능한 최상위권 의대를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덕분에 극적으로 진학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이를 두고 이른바 ‘조국 사태’로 공정성에 민감해진 여론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의 필요성과 학생부종합전형의 불공정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반대로 고교 3년간의 노력에 대한 인정과 단 한번의 시험으로 당락을 가르는 것에 대한 부당성을 강조하며 옹호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9일 교육계·입시업계에 따르면, A군은 지난 16일 한 수험생 입시 커뮤니티에 ‘진짜 내가 올해 최고 수혜자 아닐까’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이 글에서 이번 수능 가채점 결과 ‘평균 3등급’을 받고도 연세대 의예과에 학생부종합전형(학종)으로 합격한 사실을 공유했다.

A군이 직접 공개한 수능 가채점 결과(원점수 기준)를 보면, 그는 국어 3등급(77점), 수학 가형 3등급(80점), 영어 2등급(83점), 한국사 5등급(23점), 화학Ⅰ 3등급(40점), 지구과학Ⅰ 2등급(39점) 등으로 예상됐다.

A군이 수능 평균 3등급을 받고 연세대 의예과에 합격할 수 있었던 건 대학의 입시제도 덕분이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해당 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각 대학이 수시모집 각 전형에 설정한 수능성적 합격선이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전형에 지원했을 때 이를 충족하지 못 하면 불합격된다.

연세대는 올해 대입부터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폐지했다. A군은 이 제도가 유지됐더라면 불합격했을 가능성이 컸다. 지난해까지만해도 연세대 의예과에 진학하려면 대부분의 영역에서 1등급을 받아야 했다. 다른 대학 의예과들도 1~2등급의 높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한다.

A군은 “수능을 망쳐 고려대·가톨릭관동대 의대 등은 불합격했다”며 “최저(수능최저학력기준)를 폐지해 준 연세대에 고맙다”고 했다.

철저한 학생부종합전형 대비도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A군은 해당 글의 추가 덧글에서 “(고교 3년 내내 열심히 관리해) 내신 1.05를 맞췄고 학생부도 40장 정도 됐다”며 “학생부에 (고교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스토리텔링을 담은 게 +(플러스) 요인인 것 같다”고 적었다.

다소 이례적인 A군의 합격기는 다수의 인터넷 커뮤니티로 빠르게 번졌다. 급기야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와 학종에 대한 비판여론으로 진화했다. 현재 해당 글은 삭제된 상태다.

누리꾼 B는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도구가 수능”이라며 “A군은 일반적으로 의대가 요구하는 수능최저학력기준에도 못 미치는 실력으로 어떻게 수업을 따라갈지 의문”이라고 했다.

또 다른 누리꾼 C는 “내신이 1.05로 교내 1~2등 수준이며 학생부도 40장에 이를 정도인 그 학교 최우수 학생이 수능 평균 3등급을 받았는데도 최상위권 의대에 합격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 수험생이 몇이나 될까”라며 “이래서 학종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A군의 사례를 옹호하는 쪽도 있었다. 대표적인 게 대학이 학종을 통해 A군의 고교 3년 간 노력을 인정하고 충분히 의대생이 될 만한 자격을 갖췄다고 판단해 합격통보를 한 것인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 했다는 이유로 불공정하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또 우수한 내신 성적을 보면 이번 수능 성적은 실력보다는 실수에 기인한 것이 클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교육계에서는 이런 논란을 불식시키려면 대입 공정성 확보가 급선무라는 의견이 나온다. 조성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이번 사례는 ‘조국 사태’를 겪으면서 더 민감해진 대입 문제에 여론이 급격히 반응한 결과”라며 “교육부는 조만간 발표할 ‘대입 공정성 확보 방안’에 투명한 대입 기준 공개 등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좀 더 현실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