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트럼프 관심 끌려 더 큰 확성기 필요성 느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 23일 창린도 시찰 및 해안포 사격 지시가 향후 비핵화 협상 국면을 염두에 둔 대미 단계적 압박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소리(VOA)는 27일(현지시간) 로버트 매닝 애틀랜틱카운실 선임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김 위원장의 창린도 방문은 미국에 ‘보다 도발적인 군사 활동의 시작일 수 있다’는 미묘한 힌트를 줘 양보를 압박하려는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켄 가우스 해군연구소(CNA) 적국분석프로그램 책임자도 “어떤 시점부터 더 많은 미사일 실험 등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가 발생하기 시작할 것으로 추측한다”고 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수석국방분석가도 “김 위원장은 미국이 상당한 타협이 담긴 합의를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중대한 압박을 가하려 하고 있다”며 “그는 압박을 계속 가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포기할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미국 민주주의재단(FDD) 선임연구원은 특히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제재 완화’를 지목했다. 그는 “(김 위원장은) 한미 동맹을 상대로 전체적인 최대 압박을 지휘 중”이라며 “한미가 양보하도록 강압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동시에 이번 도발이 오히려 북한의 내부적 상황으로 인해 김 위원장이 받는 압박을 나타낸다는 분석도 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김 위원장은 군과 정권 엘리트층으로부터 막중한 내부적 압박에 직면했을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세 차례 회동했음에도 싱가포르 회담 이후 북한이 기대해온 제재 완화를 얻어내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은 앞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을 통해 북미 대화 지속 조건으로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 철회’를 주장한 바 있다.
VOA는 맥스웰 연구원 발언을 인용, “북한은 한미 동맹 종료 및 한반도 미군 철수, 한국과 일본에 대한 핵우산 및 확장억제 종료 전까진 적대정책이 철회됐다고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언급 역시 이를 염두에 뒀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