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대전의 한 호텔 강연장. 김강호 씨(57·가명)는 책상에 놓인 이력서를 30분째 빤히 바라보기만 했다. 이력서에 이름과 주소는 썼지만 경력란은 비워둔 채였다. 김 씨는 올해 9월까지 설렁탕 가게 사장이었다. 그런데 매출이 줄어 가게 세 달 연속 월세를 내지 못하자 폐업을 결심했다. 김 씨는 지난해 최저임금이 16.4% 오른 뒤 종업원 3명을 내보냈다. 그래도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다.
강연장에선 김 씨처럼 폐업한 자영업자 30여 명이 이력서를 쓰고 있었다. 대부분 50, 60대였다. 이들은 본격적인 구직에 앞서 이력서 작성법을 익히고 있었다. 본보 기자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재기 교육’ 장소를 찾았을 때의 모습이다.
구직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각종 교육장을 찾는 ‘폐업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다. 경기 불황으로 가게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올 1월부터 10월까지 진흥공단의 ‘재기 교육’을 들은 폐업 자영업자만 해도 8432명이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교육을 들은 폐업 자영업자(4026명)의 2배가 넘는다. 교육을 받은 폐업 자영업자들에게 지급된 수당도 33억여 원으로 역대 가장 많다.
25년간 서점을 운영해 온 신장수 씨(48)는 이력서를 작성하다 갑자기 두 손으로 얼굴을 감쌌다. 신 씨는 “월급을 받을 수 있는 곳이라면 어떤 일이든 괜찮다”며 “그런데 ‘사장’ 경력뿐이라 어떤 회사에 지원을 해야 합격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1994년 대전 시내에 서점을 차린 신 씨는 올해 폐업을 결심했다. 2000년대 초반엔 한해 수익이 8000만 원 수준이었지만 이후 계속 줄어 올해는 5인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내려앉았다.
취업이 가능한 일자리를 안내받은 뒤 실망하는 자영업자들의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강연자로 나선 취업컨설팅 강사는 “현실적으로 폐업한 50. 60대가 얻을 수 있는 일자리는 공무직”이라며 “주차관리 요원이나 분리수거 담당자 같은 일자리가 있다”고 했다. 이런 설명을 들은 윤모 씨(62)는 “급여나 근로 환경은 안 따지고 어떤 일자리라도 구하겠다고 생각해왔다”며 “그래도 이런 얘기를 들으니 조금 씁쓸하다”고 말했다.
● “어차피 취업 못할 것” 빚내서 다시 자영업
일자리를 구해보려고 강연장까지 찾아왔지만 구직을 단념하고 돌아가는 자영업자들도 있었다. 살수차 운행업체를 차렸다가 4년 만인 올 8월 폐업한 최연식 씨(58)는 “내가 사장을 해봐서 이 나이엔 취업 못한다는 걸 안다”며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음식점을 차리려고 한다. 이번엔 잘 되기를 바라야 한다”고 했다.
고도예기자 ye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