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희망직업 상위 20위 현황(자료: 교육부 제공)© 뉴스1
중·고등학생 희망직업으로 교사가 1위를 차지했다. 고등학생들의 10명중 3명은 중소기업 취업에 관심을 보였고 학생들은 더 좋은 직장으로 가기 위한 발판 차원으로 중소기업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현황조사는 지난 6월18일부터 7월26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초·중·고 1200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등 총 4만407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들은 지난해에 이어 운동선수를 희망직업 1위(11.6%)로 꼽았다. 교사가 6.9%로 뒤를 이었고 ‘유튜버’로 대표되는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초등학생들도 5.7%를 차지해 의사(5.6%)보다 다소 많았다. 이어 조리사(요리사)가 4.1%로 5위를 차지했다.
중학생은 10.9%가 교사를 희망직업으로 꼽았고 이어 Δ의사(4.9%) Δ경찰관(4.9%) Δ운동선수(4.3%) Δ뷰티디자이너(3.2%) 순으로 조사됐다.
고등학생의 경우 교사(7.4%)에 이어 Δ경찰관(3.8%) Δ간호사(3.7%) Δ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3.6%) Δ군인(2.9%)이 5위권을 차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10년 전과 비교해 초등학생은 크리에이터나 생명·자연과학자 및 연구원, 중학생은 심리상담사·치료사,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고등학생은 화학공학자, 연주·가작곡가, 마케팅·홍보 관련 전문가가 20위권에 등장하는 등 희망직업이 다양화됐다”면서도 “다만 10년 전에 비해 교사를 희망하는 중고생의 비율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희망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이유로는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초 55.4%·중 50.3%·고 47.9%)를 가장 많이 뽑았다. 2위도 초중고 모두 ‘내가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아서’를 택했다.
고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52.5%가 중소기업 취업에 관심을 보여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이어 특성화고(41.4%), 예술·체육고(35.0%), 자율고를 포함한 일반고(33.7%), 과학고·외고·국제고(25.2%)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희망직업을 알게 된 경로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부모님, 고등학생은 대중매체가 꼽혔다. 초등학생 36.0%와 중학생 38.7%가 부모님으로부터 희망 직업에 대해 알게 됐고, 고등학생은 36.3%가 TV 등 대중매체로 희망직업에 대해 알게 됐다. 웹사이트나 SNS를 통해 희망직업을 알게된 고등학생 비율도 33.6%였다.
초·중·고교생 모두 향후 참여를 희망하는 진로활동으로는 ‘진로체험’(초 88.7%, 중 89.6%, 고 88.6%)을 꼽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양한 체험처 발굴과 질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로체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설문한 진로체험 유형은 ‘직업인 특강 멘토링’(중 75.0%·고 75.6%)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현장견학’(중 70.4%·고 54.8%)은 그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가장 도움이 되는 진로체험유형(5점 만점)으로는 중학생의 경우에는 ‘진로캠프’(4.10점), 고등학생은 ‘직업 실무체험’(4.10점)이었다.
한편,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물은 내년 1월 중 국가통계포털과 진로정보망 ‘커리어넷‘에 탑재해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