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복지를 넘어 공간복지로] <9> 대구 중구 ‘삼덕마루도서관’, 부산 수영구 ‘F1963’
부산 수영구 민락동 고려제강의 옛 와이어로프 생산공장을 탈바꿈시켜 만든 복합문화공간인 ‘F1963’에서 주민들이 공연을 감상하고 있다. F1963 제공
중구는 2014년 8월 대구시교육청으로부터 이 건물을 넘겨받아 개보수를 추진했다. 작은 도서관과 주민 커뮤니티센터로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근대 교육시설 관사의 역사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581호로도 지정됐다. 2017년 7월에는 동네 도서관 및 교구놀이방 등을 갖춘 문화교육공간인 ‘삼덕마루작은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적산가옥을 공립 도서관으로 활용한 첫 사례에 해당한다.
삼덕마루는 폐가에서 연간 1만 명 이상이 찾는 대표적인 공간복지 시설로 탈바꿈했다. 공간복지는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체육시설, 독서실, 노인정 등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을 갖춰 주민들이 편하게 복지 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개념이다.
삼덕마루는 일본식 가옥의 특징을 고스란히 보여 준다. 주택 구조는 다다미(일본식 돗자리)방 3개와 마루에 다락방 2개가 딸려 있는 형태다. 다다미가 깔린 교구놀이방은 어린이들이 차지한다. 보드게임과 장난감, 학습교구, 블록 쌓기 등을 한다. 방과 후 청소년들이 모여 독서 토론을 한다. 주민들은 퀼트 공예, 캘리그래피 등의 수업을 받는다.
일제강점기 적산가옥을 재단장해 조성한 대구 중구 삼덕동 삼덕마루작은도서관에서 독서 삼매경에 빠진 어린이들. 대구 중구 제공
부산 수영구 민락동 복합문화공간인 ‘F1963’은 1963년 설립된 고려제강의 옛 와이어로프 생산공장이 재탄생한 공간이다. 이곳은 2008년 고려제강이 공장을 경남 양산시로 옮긴 뒤 10년 가까이 방치됐고 쓰레기 무단투기의 온상으로 전락했다. 2016년 공장 시설 일부가 리모델링을 거쳐 부산비엔날레의 전시장으로 활용되면서 이 공간에 대한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수영구 관계자는 “향토기업인 고려제강의 창업주가 공장을 운영하면서 지역 주민들에게 끼친 피해 등을 고려해 주민을 위한 시설을 만들기로 했다”며 “고려제강이 흔쾌히 공장 부지를 20년간 무상으로 빌려줘서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을 조성했다”고 말했다.
대구=장영훈 jang@donga.com / 부산=조용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