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News1
민주당은 신속히 협상을 재개한다는 방침이지만, 협의체 내 야당들이 반발하며 난항이 예상된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3+1 야당은 전날(18일) 민주당의 의원총회 결과에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민주당은 의원총회 결과 3+1 야당이 합의한 ‘(비례대표 50석 가운데) 30석을 연동형 배분의 상한(cap·캡)으로 하는 방안’을 수용하되, ‘석패율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야당들에게 ‘재고’를 요청했다.
이밖에도 의총에서는 연동형 캡과 관련한 당론을 기존 ‘20석’에서 ‘30석’으로 늘리는데 합의했지만, 3+1 합의문에 명시된 ‘21대 총선 한시 적용’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 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동을 마친 후 회의실을 나서고 있다. 윤소하 원내대표는 이인영 원내대표가 회의실에서 나오자 등을 돌린 채 자리를 떠났다. 이날 회동에서 야 3당 대표자들은 야 3+1 대표 회동에서 합의된 내용을 이인영 원내대표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 News1
또 다른 관계자는 “3+1 야당들이 어렵게 합의한 사항을 마지막으로 책임져야 할 정부여당이 회피하는 듯 하다”며 “양보 없이 타협만을 바라는 건 아닌가 싶다”고 비판했다.
야당들이 반발하면서 향후 4+1 협의체 협상에는 난항이 예상된다. 선거법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사실상 타결된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터) 및 검·경 수사권 조정안 협상까지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4+1 협의체 소속 정당들은 이날 오전 각 정당별 최고의결기구 회의를 거쳐 당론을 정한 뒤, 이르면 오후부터 협상 재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합의문을 작성한 3+1 원내대표급 회동 가능성도 거론된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논의는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석패율제와 관련한 동의가 이뤄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