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식모기와 사용법 동일, 상용화 돌입 수술 시간 대폭 줄고 집도 의사 및 환자 부담 덜어
국내 연구진이 모낭을 연속으로 심을 수 있는 연발형 모발이식기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기존 모발이식기와 사용법이 동일해 적응하기 쉽고 수술시간을 대폭 낮출 수 있어 환자와 의사의 부담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경북대학교 모발이식센터, ㈜오대금속과 공동연구를 통해 수술시간을 30~5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연발형 식모기(植毛機)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단발형 식모기는 모낭을 식모기에 장착한 뒤 두피에 삽입하고 다시 식모기에 모낭을 장착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했다. 남성형 탈모 환자 수술 1회당 2000~3000 개의 모낭 삽입이 이뤄지다보니 수천 회의 식모기 교체 동작이 필요해 장시간이 소요, 환자의 고통은 물론 시술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연발형 모발이식기에는 바늘 10개가 장착돼 있어 한 모낭을 이식할 때마다 카트리지가 자동으로 회전, 다음 이식작업이 즉시 가능하다.
이로 한번에 모낭 10개를 연달아 심을 수 있어 식모기 교체 횟수를 10분의 1로 줄이고 수술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현재 이 기술은 경북대학교병원 모발이식센터에서 8차에 걸친 임상시험을 통해 사용상 결함이나 안전 문제가 없다는게 확인됐다.
연구진은 기존의 수동식모기를 활용하면서도 모터 등 별도 전기장치 없이 바늘을 공급하게 만들어 의사들이 새로운 기기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했으며 특히 바늘과 식모기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구조로 설계해 시술 및 장비 안정성을 높였다.
바늘 개수는 시술 과정에서 회복 시간을 고려해 식모기를 최적 시점에 교체할 수 있도록 10개로 설정했다.
연구진의 연발형 식모기는 지난 5월 대한모발이식학회에서 국내에 처음 선보인 뒤 지난달 태국에서 열린 국제모발이식학회를 통해 해외에도 소개됐다. ETRI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장비를 개발한 ㈜오대금속은 GMP(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 및 의료기기 제조인증(KFDA)과 미국 FDA 등록을 마쳤다.
ETRI 김규형 의료IT융합연구실장은 “대구·경북권 중견기업인 ㈜오대금속과 함께 혁신 의료기기를 개발해 큰 의미가 있다. 탈모 환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기술 보급 및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