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경제 불평등 심한 동유럽, 소수자 배척 ‘극우 포퓰리즘’ 득세

입력 | 2019-12-20 03:00:00

[키워드로 보는 혼돈의 2019]
<8> 종족 민족주의(Ethnonationalism)




1989년 11월 독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유럽 공산정권도 줄줄이 붕괴한 지 꼭 30년이 흘렀다. 겉으로는 30년간 이 지역에서도 민주주의와 시장경제가 뿌리내린 듯하다. 하지만 최근 인종주의 및 국수주의 성격이 강한 민족주의를 뜻하는 ‘종족 민족주의(Ethnonationalism)’를 앞세운 극우 정당 및 정치인이 득세해 우려를 낳고 있다.

“난민이 몰려드는 국경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겠다”고 외치는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 “난민이란 ‘무지개색 흑사병’이 폴란드의 존립을 위협한다”고 주장하는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폴란드 집권 법과정의당 대표, “난민에게 문호를 개방해 독일의 불안정이 심해졌다”고 주장하는 외르크 모이텐 ‘독일을위한대안(AfD)’ 공동대표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은 다르지만 난민 구조선 입항 봉쇄로 ‘제2의 무솔리니’란 비판까지 받은 마테오 살비니 이탈리아 극우정당 ‘동맹’ 대표 겸 전 부총리도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강대국 권위주의 지도자와 같은 큰 영향력은 없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주목과 견제가 소홀한 틈을 타 더욱 노골적인 극우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10월 폴란드 총선에서 카친스키 대표는 ‘낙태 제한, 성소수자 없는 도시 만들기’ 등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공약을 내걸었다. 그래도 하원 460석의 과반을 손쉽게 확보했다. 같은 달 AfD도 옛 동독 지역인 튀링겐 주의회 선거에서 집권 기독민주당을 밀어내고 제2당으로 급부상했다. 헝가리, 폴란드, 체코는 유럽연합(EU)의 난민 할당을 준수하지 않아 EU와도 사사건건 갈등을 빚고 있다. 7월 타계한 헝가리 유명 철학자 아그네스 헬러가 “종족 민족주의가 전체주의(Totalitarianism)로 변질될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한 이유다.

전문가들은 특히 동유럽에서 종족 민족주의가 기승을 부리는 이유로 서유럽에 비해 낙후된 경제에 따른 불평등을 이유로 꼽는다. 10월 미 여론조사회사 퓨리서치센터가 옛 공산권 17개국 약 1만9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폴란드, 동독,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응답자의 대부분이 ‘체제 변화로 누가 이득을 누렸느냐’는 질문에 “정치인과 사업가”를 꼽았다. 응답자의 53%는 “건강보험 제도가 공산주의 때보다 후퇴했다”고도 했다.

비(非)유럽권도 크게 다르지 않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난민 대신 자국 내 소수계를 탄압하는 극우 정책을 펴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900만 인구의 약 15%인 아랍계를 노골적으로 배척하고 있다. 아랍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했고 ‘이스라엘은 유대인을 위한 국가’라고도 규정했다. 모디 총리도 최근 이웃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3개국 출신 불법 이민자 중 힌두교, 시크교, 불교, 자이나교, 파시교, 기독교 신자에게만 시민권을 허가한 시민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12억 인구의 약 14%를 차지하는 이슬람교 신자들은 “종교 차별을 금지한 헌법 위반이자 무슬림에 대한 인종청소”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초 시작돼 전국으로 번진 시민법 개정 반대 시위에서 6명이 숨지고 100명 이상이 다쳤다.

전문가들은 세계화와 자유무역의 수혜를 폭넓게 누리지 못한 지역의 상대적 박탈감, 외부인에 대한 적개심 등으로 종족 민족주의를 이용하려는 정치인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파키스탄 이민자 후손인 사디크 칸 영국 런던시장은 “현재의 유럽이 제2차 세계대전 직전과 흡사하다”고 우려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헝가리, 폴란드 등 민주주의 연식이 짧은 국가에서 자유주의가 비자유적 형태로 변질됐다”고 지적했다.

카이로=이세형 특파원 turtle@donga.com / 한기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