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넉 점은 놔야겠지요.”
1970, 80년대 세계 바둑계를 호령하던 시절 대만 출신의 린하이펑(임해봉) 9단은 신과 두려면 넉 점은 먼저 놔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 후 수십 년 뒤인 2016년 구글의 딥마인드가 개발한 알파고의 등장으로 인류는 ‘바둑의 신’을 현실에서 목격하게 됐다. 이세돌 9단과 세기의 대국을 펼친 알파고는 이 9단에게 4승 1패를 기록했고, 이듬해 5월 업그레이드된 알파고는 세계 1위 중국의 커제 9단을 3연패시키고, 정상급 기사 5명과의 단체대국도 불계승을 거뒀다. 알파고-커제 대국을 지켜보던 정상급 고수들은 “앞으로 인간이 알파고를 이길 희망이 없는가”라는 질문에 “아마도…”라며 말을 흐렸다.
▷이세돌 9단이 18일 ‘한돌’과의 1번국에서 불계승을 거뒀다. 이 9단이 2점을 깔고 두는 접바둑이었지만 덤 7집 반을 한돌에게 주는 것이어서 실제 치수(置數)는 1.5점에 불과했다. 다들 한돌의 우세를 점쳤다. 그런데 한돌이 갑자기 무리수를 뒀다. 이 9단은 이것을 정확히 응징해 한돌의 항복을 받아냈다. 공교롭게도 이 9단의 응징수가 78번째 수였다. 이 9단이 알파고와의 대결 4국에서 이겼을 때 역전의 시발점이 된 ‘신의 한 수’도 78수였다.
▷한돌이 패한 이유는 ‘장문(藏門·돌을 포위해 잡음)’이란 아마추어도 아는 수를 제대로 못 봐 요석(要石) 석 점이 잡혔기 때문이다. 한돌의 실수가 이세돌의 묘수 때문인지, 프로그램의 오류인 버그 때문인지는 모른다. 사실 한돌은 호선바둑만 공부해왔고 접바둑 준비기간은 한 달 반 남짓하다는 약점이 있었다. 어제 호선으로 둔 2국은 이변 없이 한돌 승리였다.
▷AI도 인간이 만든 피조물이다. AI 바둑으로 프로기사들의 설 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도 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바둑의 재미와 수준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됐다. 다른 분야의 AI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미래는 정해지지 않았고, 우리는 모두 ‘세돌’이 될 수 있다.
서정보 문화부장 suhcho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