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 모인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회의”, 리커창 총리는 “중한일 정상회의”, 아베 총리는 “일중한 정상회의”라고 각각 다르게 말했다.
첫 한중일 정상회의는 199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의 주도 하에 외환위기 대응을 위한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됐다.
우리측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제6차 라오스 비엔티엔 정상회의)부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와는 별도로 한중일 3국 내에서 정상회의 개최를 지속하자고 제의했다. 노 대통령은 2007년 11월 제8차 싱가포르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회의의 3국내 개최의 제도화를 제안했다.
2012년 중국 베이징에서 제5차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된 이후 중일 간 갈등으로 협력이 정체됐으나, 우리측 주도로 2015년 11월 서울에서 제6차 3국 정상회의가 개최돼 이날까지 총 8차례 3국 간 별도의 정상회의를 통해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제7차 3국 정상회의가 2년 반 만에 개최돼 남북정상회담 관련 한중일 정상 특별성명과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공동 지지도 이끌었다.
청와대는 공식 회의 명칭을 ‘한일중 정상회의’로 사용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일·중인지 한·중·일인지 매번 혼란스러워서 2010년부터 정상회의 개최 순번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 언론의 경우 국민이 익숙한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국 정상회의는 일→중→한 순으로 3국이 순차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Δ2008년 일본 후쿠오카(1차) Δ2009년 중국 베이징(2차) Δ2010년 제주(3차) Δ2011년 일본 도쿄(4차) Δ2012년 중국 베이징(5차) Δ2015년 서울(6차) Δ2018년 일본 도쿄(7차) Δ2019년 중국 청두(8차) 순서였고, 한국을 가장 앞서서 부으면 한국→일본→중국 순서라는 것이다. 다음 3국 정상회의 개최지는 한국이다.
3국 정상회의에 대해서는 중국은 ‘중한일’, 일본은 ‘일중한’으로 부르고 있다. 자국을 가장 앞에 두고 개최지 순서대로 부르는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23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에 오셔서 제8차 중한일 정상회의에 참석하신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24일 3국 정상회의에서 “일중한 3국은 세계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오랜 기간 걸친 문화적 교류의 유대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일의 관계에 따라 3국 정상회의도 중단되는 상황이 반복되자 문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 정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일중 정상회의의 2년 연속 개최를 높이 평가하며 “정례화가 중요하다. 내년에는 한국에서 치러지는 만큼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이는 곧 동북아 공동번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두=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