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길 콘텐츠는 없는데 속도만 빨라 ●이동통신 3사,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 볼모로 비싼 요금제 가입 유도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에서 두번째)이 11월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메리어트 파크센터에서 열린 ‘통신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당부했다. [뉴스1]
소비자에게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 일단 5G 요금제에 가입해야 휴대전화 단말기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LTE에 머물려 해도, 이미 LTE 요금까지 야금야금 올라 퇴로가 막혔다. 신형 단말기를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소비자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이동통신 3사의 5G 요금제를 선택하는 실정이다. 무제한 요금제로 비교했을 때 5G는 4G보다 월 50%가량 비싸다.
정부도 속수무책이다. 집권 전부터 가계 이동통신비 부담을 낮추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무리한 5G 도입으로 외려 부담이 커진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부랴부랴 알뜰폰(가상이동통신망서비스)을 대안으로 내놓았지만 시장에서도 현실을 모르는 대책이라며 한숨이 쏟아진다.
얼마나 올랐기에
돈은 돈대로 내고 쓸 곳은 마땅찮아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에서 두번째)이 11월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메리어트 파크센터에서 열린 ‘통신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당부했다. [뉴스1]
물론 5G에도 장점은 있다. 우선 LTE에 비해 통신 속도가 빠르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과 KDB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5G의 최고 통신 속도는 20Gbps, 체감 속도는 100Mbps이다. 최고 속도는 LTE보다 20배 빠르고, 체감 속도는 10배 차이가 난다. 따라서 5G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같은 대용량 데이터 기반의 콘텐츠 이용에 적합하다.
LTE에 비해 지연 속도가 낮다는 점도 5G의 장점이다.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시간 차이가 적다는 의미다. 5G 환경에서는 이전 이동통신망에 비해 지연 속도가 60~100배 줄어든다. 이상적인 통신환경에서는 지연 시간이 100분의 1초 수준.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초를 다투는 원격의료나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5G 통신망이 필수다. 이외에도 다른 통신기기와 연결하는 확장성도 LTE에 비해 훨씬 뛰어나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일반 소비자가 사용할 만한 서비스로는 VR와 AR가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대표적인 콘텐츠가 떠오르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5G를 처음 시작했을 때 가입자를 모으기 힘들 것이라고 봤다.
지금까지 이동통신사들은 가입자 유입을 위해 콘텐츠 다변화를 시도해왔다. VR와 AR에서는 콘텐츠를 확대했다. 예를 들어 유명 가수나 아이돌의 공연 실황을 VR로 내놓고, 5G 지연 시간이 거의 없다는 점을 이용해 프로 스포츠를 1초의 지연 없이 볼 수 있는 서비스도 선보였다.
하지만 소비자 반응은 여전히 차갑다. 얼마 전 5G 스마트폰을 장만한 김현수(27) 씨는 “아이돌 및 프로야구 팬이긴 하지만, 굳이 월 5만 원씩 더 내가며 지연 없는 중계를 보거나 VR 콘텐츠까지 즐기고 싶지는 않다”고 밝혔다.
7월 시장조사업체 트렌드모니터가 발표한 ‘5G 서비스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4%가 5G 서비스의 어떤 점이 LTE에 비해 더 나은지 구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기존 LTE 서비스와 5G가 다르다는 점을 체감한다는 응답자는 11.4%에 불과했다.
소비자 불만이 터지는 지점은 5G의 품질이었다. 통신 속도 및 범위에서 불만이 특히 컸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5G 단말기 사용자 3만3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동통신 3사의 5G 서비스 만족도는 30%대 초반에 머물렀다. LG유플러스가 33%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KT와 SK텔레콤이 각각 32%, 31%로 집계됐다. LTE 서비스 만족도가 이동통신 3사 평균 53%였음을 감안하면 격차가 크다. 컨슈머인사이트는 보고서에서 ‘이동통신 3사 5G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낮은 편이다. 특히 커버리지 만족도는 3사 모두 30% 이하로 낮았다’고 밝혔다.
5G 단말기는 5G 서비스 권역 밖에서는 통신망이 LTE로 바뀐다. 제대로 통신망이 깔려 있지 않은 상태라면 돈은 돈대로 더 내고 LTE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실제로 ‘주간동아’ 취재팀이 직접 서울 전역을 돌며 확인한 결과 7월까지만 해도 지하철이나 대형건물에 들어가면 5G 서비스 사용이 불가능했다.
사실상 품질은 LTE, 도망갈 방법도 없어
비싼 데다 성능조차 완전하지 않은 상품이라면 사지 않으면 될 일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소비자가 5G를 피할 길이 많지 않다. 일단 저렴한 가격에 단말기를 사려면 5G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동통신사들은 마케팅 명목으로 지원금을 대폭 풀었다. 올해 2, 3분기 각 제조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S10, 갤럭시노트9, V50의 가격이 대폭 떨어졌다. 휴대전화 단말기를 거의 공짜로 판다는 ‘빵집’ 제보까지 쏟아졌다. 요즘엔 지원금을 줄이고 있다. 지원금을 줄이자, 수요는 LTE로 다시 쏠렸다. 제조사들도 재고를 소진하겠다며 연말 LTE 스마트폰 가격을 대폭 낮췄다. 대형 휴대전화 판매업체 관계자는 “LTE가 이득이라는 소비자가 많은 것 같다. 실제 매장에서도 LTE 단말기를 문의하는 손님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후 이동통신사들은 다시 5G 마케팅 비용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핫딜폰’ 등 대형 휴대전화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5G 단말기를 3만 원에 판매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연말에 운 좋게 LTE 신형 스마트폰을 구매한 소비자라 해도 저렴한 요금제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사가 11월 LTE, 3G 요금제를 대폭 정리했기 때문. 특히 가장 많이 가입한 5만 원대 요금제가 사라졌다. 이 요금제는 매달 20~30GB 데이터를 주고, 이를 전부 소진하면 매일 2GB씩 데이터를 지급했다. 하지만 요금제 변경 이후 매달 제공되던 데이터가 없어지거나 크게 줄었다.
LG유플러스는 매달 6만9000원을 내야 매일 5GB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KT의 같은 LTE 요금제는 매달 100GB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소진하면 통신 속도를 5Mbps로 제한한다. LTE의 평균 체감 속도가 10Mbps인 것을 감안하면 통신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SK텔레콤의 요금제는 KT와 거의 동일했다. LTE에 머물러도 매달 1만 원가량 추가 부담이 있는 데다, 더는 무제한 요금제라 보기도 어렵다. 물론 매달 10만 원 이상 요금제에 가입하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이보다 싼 9만9000원이면 5G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다.
동영상 위주의 콘텐츠 소비 환경에서 데이터 무제한은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깝다. 무제한 요금제가 아니면 휴대전화로 동영상을 마음대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집계에 따르면 9월 기준 5G 가입자의 79%가 무제한 요금제를 쓰고 있었다. LTE 도입 초창기 가입자가 30% 수준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무제한 요금제 가입률이 크게 상승했다.
통신비 인하 전력 없지만, 정부 믿을 수밖에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에서 두번째)이 11월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메리어트 파크센터에서 열린 ‘통신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당부했다. [뉴스1]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이 기사는 주간동아 1220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