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 News1
베트남에 억류됐던 탈북민 13명이 미국 정부의 ‘예상치 못한 도움’을 받고 지난달 안전한 장소로 이동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WSJ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한 지난 3일자(현지시간) 기사에서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하려다 실패하고 담요에 싸여 있던 억류 탈북민 2명의 영상이 공개된 뒤, 미국 외교관들이 개입해 이들을 도왔다고 말했다. 외교관 중에는 북한 정권과의 비핵화 군축 회담에 관여한 인물도 포함됐다.
탈북민들은 북한으로 송환되는 것을 매우 두려워했다. 송환될 경우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거나 더 최악의 상황을 직면하는 까닭이다.
미국과 아시아에 있는 미 외교관들은 베트남 관리들한테 억류한 북한인들을 중국이나 북한으로 넘기지 말라고 압박했다고 한다. 미국 관리가 탈북민 문제에 관여하는 건 매우 드문 일이다. 개입 사실이 공개되는 일도 흔치 않다. 미 국무부는 논평을 거부했다.
미국의소리(VOA)는 WSJ이 보도한 탈북민 사례는 작년 11월 중국을 거쳐 베트남 국경을 넘던 중 베트남 경찰에 체포된 북한인들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 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는 당시 탈북민 11명이 베트남 국경에서 체포돼 북송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 외교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외교부는 탈북민 체포 사실을 인지한 직후 관련국 정부와 접촉해 적극적 조치에 나섰다고 밝혔었다.
또 민간단체인 갈렙선교회 김성은 목사는 구출을 호소하는 여성의 동영상을 공개했고, 탈북일행 중 한 명이 중국으로 추방당할 수 있다는 말을 들은 뒤 음독을 시도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소식통 중 한 사람은 보통 이러한 탈북민 문제에서 앞장서는 한국 정부는 초기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않고 한 발 물러서는 것처럼 보였다고 언급했다. 한국은 북한인 석방 문제에 역할을 했다고 말했지만 ‘언제’ ‘어떻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진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지난 2017년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인권단체와 정치인들로부터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 문제보다 남북관계 강화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WSJ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부 한국 관리들은 북한에 인권 문제를 강하게 압박하는 일은 남북 관계나 비핵화 협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