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인사위원회 위원장인 이창재 변호사가 20일 오후 경기도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검찰인사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법무부 청사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법무부는 오늘 오후 2시 검찰인사위원회를 열어 고검검사급(차장·부장검사) 승진·전보 인사를 논의한다. 2020.1.20/뉴스1 © News1
검찰 중간간부급 인사를 논의하는 검찰인사위원회가 20일 열렸다.
법무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4시께까지 정부과천청사에서 검찰인사위원회를 열고 차장, 부장검사를 중심으로 중간간부급 승진·전보 인사를 논의했다.
검찰인사위 위원장인 이창재 변호사는 이날 오후 4시6분쯤 회의를 마치고 법무부 청사를 나서면서 “충실히 논의했다”며 “좋은 의견을 많이 모아 인사 원칙과 기준에 대해 논의하고 (법무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앞서 오후 1시35분께 법무부 청사에 도착해 “오늘 인사 위원회가 구체적인 인사를 논의하는 자리는 아니다”라며 “걱정하시는 부분이 많으니 잘 논의해서 좋은 의견을 법무부에 전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취재진이 ‘윤석열 검찰총장이 중간간부 전원 유지 의견을 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오늘 인사위에서 직제개편도 논의하나’ 등 기자들의 질문에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이 위원장 외 다른 위원들도 인사위 논의 내용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검찰인사위는 큰 틀에서 인사원칙과 기준을 의결한다. 이 위원장 외에도 검사 3명과 판사 2명, 변호사 2명, 법학교수 2명, 법률가가 아닌 2명 등 총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애초 법무부는 검찰 직접수사부서 13곳을 폐지하려 했으나, 대검찰청이 일선 의견을 취합해 반대의견을 내자 이를 반영해 일부 부서는 유지하기로 한 발 물러섰다.
차·부장 등 고검검사급의 필수보직기간은 1년이지만 직제·정원 변경이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하고 있다. 이에 법무부의 직제개편이 현 정권 겨냥 수사팀 해체를 위한 ‘우회로’로 활용될지 여부에도 눈길이 쏠린다.
현재 조국 전 법무부장관 비위 의혹 수사를 맡은 서울중앙지검 송경호 3차장검사와 고형곤 반부패2부장,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수사를 담당한 신봉수 2차장검사와 김태은 공공수사2부장이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지난 고위간부 인사에서 수사 지휘부가 ‘물갈이’된 데 이어 후속 인사에서도 같은 기조가 유지되지 않겠냐는 게 법조계의 대체적 관측이다.
앞서 모든 대검 중간간부들은 지난 10∼13일 ‘부서 이동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윤 총장 체제의 연속성을 위해 자신들의 유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과천=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