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디자인으로 깎고 다듬은 문래동 금속기술자들의 삶

입력 | 2020-01-29 03:00:00

문래동에 작업실 시각예술작가 강수경
‘금속가공 공장들의 문장 디자인’ 펴내




금속가공 공장들이 늘어선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골목에서 만난 강수경 작가. 그의 작업실도 이 부근에 있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춤추는 금속기술자. 1987년부터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금속가공업체 ‘에이스정공’을 운영해 온 조양연 대표의 취미는 스포츠댄스다. 세월의 흐름과 함께 경력과 기술이 붙는 반면 체력의 뒷받침이 부족해지는 걸 느낀 뒤 시작했다. 낮에는 절삭기계 앞에서, 밤에는 댄스플로어 위에서 분주한 발놀림을 이어 왔다.

그를 보고 시각예술작가 강수경 씨(39)가 빚어낸 에이스정공의 문장(紋章)은 대문자 알파벳 A(에이스)가 춤추는 듯한 형상이다. 사뿐사뿐 미끄러지듯 기계들 사이를 오가며 작업하는 조 대표를 닮았다.

강 작가는 2016년부터 동료 작가 5명과 함께 문래동 금속공장 20곳의 대표들을 만나 저마다의 공간과 기술 위에 쌓인 시간을 이미지로 압축해 냈다. 그 결과물을 모아 ‘문래 금속가공 공장들의 문장 디자인’(미메시스)을 최근 펴냈다.

알파벳 W에 ‘거미줄 같은 관계망’의 이미지를 더한 자재유통업체 ‘월드스텐레스’ 문장의 작업장 전면부 적용 이미지(왼쪽 사진). 금속가공업체 ‘에이스정공’의 문장 디자인에는 업체 대표의 취미인 스포츠댄스 분위기를 살려 넣었다. 미메시스 제공

기본 뼈대는 문래동에서 중소 규모 금속공장을 이끌어 온 기술자들과의 인터뷰다. 그 대화 마디마디에 1960년대 이후 서울 경공업의 변천사 자료를 깔끔하게 삽입했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등에 흩어져 있는 자료를 그대로 인용한 것은 하나도 없다. 필요한 데이터만 추려내 일일이 새로 만들어 넣었다.

종일 혼자만의 작업실에서 묵묵히 일하는 기술자들이 ‘예술가’의 접근을 귀찮아하지는 않았을까. 강 작가는 “처음에는 한결같이 다가가기 어려웠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이었다”고 말했다.

“금속가공 기계 작업에는 항상 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그래서인지 대표님들은 예외 없이 성품이 까칠하고 무뚝뚝하다. 목소리도 크고 화도 버럭버럭 잘 낸다. 하지만 일단 작업을 시작하면 섬세하기 그지없는 모습으로 확 바뀐다. 그렇게 자율적인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삶의 모습이 흥미로웠다.”

유럽의 장인들에게 문장은 오랜 세월 쌓아 올린 기술력의 성취에 대한 자긍심의 상징이다. 강 작가와 동료들이 문래동 기술자들의 문장을 만들기 위해 그들 각각의 삶을 파고든 건 존재감의 뿌리를 찾기 위해서였다.

“단순하게 보면 하나의 이미지를 끌어내는 작업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관찰의 대상이 되는 개인과 작업을 개별적으로 들여다보지 않으려 했다. 그들이 이루는 흐름에 시선을 두려 했다. 개인의 사연을 듣다가 서울 경공업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건 그 때문이다. 기술자와 그의 작업 공간에 시간이 통과하며 쌓인 여러 겹의 흔적을 파악하고 싶었다.”

‘사고 없는 쇳물 작업’의 희원을 담은 부적이기도 한 ‘광신(鑛燼)주물’의 문장. 강수경 작가 제공

아버지와 아들이 10년 넘게 함께 운영하고 있는 ‘태성기공’의 문장은 ‘아버지 쏙 빼닮은 아들’의 이미지다. 중심선을 따라 아래위가 대칭이 되는 원통 스크루 부품의 단면 도면에 디테일을 더했다. 쇳물을 다루는 ‘광신주물’ 문장의 아이디어는 오늘 작업도 무탈하기를 기원하는 부적의 이미지에서 가져왔다.

완성된 문장이 인쇄된 간판과 미닫이문을 받은 대표들의 반응은 단순 명료 했다. 작업장 대여 계약이 만료된 대표들이 공장을 옮기며 약속한 듯 미닫이문을 통째로 떼어가 옮겨 달았다. 강 작가는 “말없는 칭찬으로 느껴져 기뻤다”고 말했다.

“문래동 금속공장의 기술자들은 자신이 만들어내는 부품이 완성된 어떤 기계의 어느 부분에 쓰이는지 모른다. 그걸 알지 못한다고 해서 그 부품의 존재나 생산 작업이 무의미할 리 없다. 각각의 부품이 저마다의 리듬대로 만들어지기에 기계의 흐름이 이어져 온 거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