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제주 ‘이주열풍’ 시들… 부동산이 꽁꽁 얼어붙었다

입력 | 2020-02-05 03:00:00

주택가격 치솟으며 이주비용 증가… 12월 제주도 인구 8년만에 순유출
국내외 경기침체-투자매력 감소로 부동산 침체 2, 3년간 지속될 듯



한라산 남쪽인 제주 서귀포시 지역은 이주민들이 정착하기를 선호한 곳이었으나 이주 열풍이 시들해지면서 토지 가격이 하향세로 돌아서고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는 등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지역을 들썩이게 했던 이주 열풍이 시들해지고 부동산 가격이 내리막으로 돌아섰다. 토지는 물론이고 주택마저 매매가 꼼짝하지 않을 정도로 얼어붙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국내 인구이동’에 따르면 12월 제주도 전입 인구는 8627명, 전출 인구는 8651명으로 24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제주지역에서 전입보다 전출 인구가 많아진 월별 통계는 2011년 12월(12명) 이후 8년 만이다.

제주지역은 2011년 순유입 인구가 2343명으로 나타나면서 본격적으로 이주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주 열풍이 절정에 이른 2016년에는 순유입 인구가 1만4632명에 달했다. 그해 2월에는 월별 순유입이 1738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2016년 정점을 찍은 이주 열풍은 2017년 1만4005명, 2018년 8853명, 2019년 2936명으로 순유입 인구가 줄면서 시들해졌다. 2018년부터 2년 동안 사유별 이동 인구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직업 2500명, 자연환경 1900명, 주거환경 100명 등으로 증가했지만 교육 800명, 가족 600명, 주택 100명 등으로 감소했다. 직장, 청정 환경 등이 제주 유입 이유라고 봤을 때 제주를 떠난 이유로는 교육과 가족 문제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주 열풍이 불어닥친 배경에는 제주의 청정 자연환경과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 건강에 대한 기대,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가치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작품 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라고 여긴 문화예술인의 이주도 많았고, 영어교육 도시와 기업 이전에 따른 인구 유입 효과도 있었다. 내국인 이주 열풍과 중국 자본의 투자 열기 등에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의 기대심리도 있었다.

하지만 제주지역 땅과 주택 가격이 치솟으면서 이주에 따른 비용 부담이 증가했다. 인구 증가로 상하수도, 쓰레기 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서 연이어 문제가 터졌고 교통 혼잡에 따른 불편과 민원도 줄을 이었다. 이주민과 현지 주민 간의 문화적 갈등, 일자리 문제 등으로 적응하지 못한 채 이주를 포기하고 대도시로 돌아간 이들도 적지 않았다. 이주민들이 예상했던 농촌생활과 달리 농산물 생산과 유통 등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농사를 접는 사례도 많았다.

순유입 인구 하락세, 중국인 투자 중단 등의 여파로 2019년 제주지역 토지 가격은 1.77% 하락했다. 토지 가격이 떨어진 건 2008년 이후 11년 만이다. 지난해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1072채에 달하고 이 가운데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800채에 이른다.

이성용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도내외 전문가 87명을 대상으로 제주지역 토지, 주택 등 부동산 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올해 더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며 “국내외 경기 침체 지속, 제주의 투자 매력 감소, 정부 규제 정책 등으로 제주지역 부동산 시장 침체는 앞으로 2, 3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