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개장전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둘러보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변종국 산업1부 기자
항공업계는 2년 동안 수차례 장관과 만나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하고 싶어 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초부터 항공업계가 여행 수요 감소와 고유가, 환율 불안정 등으로 경영 위기를 겪고, 지난해 여름부터 시작된 일본 여행 불매운동으로 치명타를 입자 정부에 도움을 호소했다. 급기야 국내 5개 LCC 대표들은 지난해 10월 정부에 “일본 무역 규제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니 공항시설 사용료 감면 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공동 청원서까지 냈다.
하지만 대답은 ‘노(NO)’였다. 국민의 자발적인 불매운동에 따른 피해를 지원해줄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는 동안 이스타항공이 매각됐고 항공사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유·무급휴직과 희망퇴직, 임원 감축 등 사실상의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결국 지난해 모든 항공사가 적자를 냈다. 한국 항공산업 역사상 유례가 없는 위기다.
신종 코로나 사태로 항공사들이 사실상 벼랑 끝까지 몰리고 국민의 관심이 쏠리자 이제야 자리를 마련하는 것 아니냐는 항공업계의 섭섭함이 이해된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김 장관이 지난 2년 반 동안 집값을 잡기 위해 부동산 정책에 쏟아부은 관심에 비하면 항공업계는 소외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선 “국토부가 노선 운수권이나 각종 징계를 결정하다 보니 항공사를 규제 대상으로만 보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기도 한다.
김 장관이 항공업계 대표들과 늦게나마 만나는 것은 다행이다. 김 장관이 당초 17일에 만나려는 일정을 앞당긴 것도 항공업계의 어려움을 그만큼 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정부는 2008년 금융위기와 2015년 메르스 사태, 2017년 사드 여파 때도 항공업계를 지원해준 사례가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 사태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경제에 주는 충격이 클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김 장관이 이번 만남을 통해 국내 항공사들의 절박한 상황을 이해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
변종국 산업1부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