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해양·환경 위성 19일 발사… 한반도 주변 바다-기후변화 관찰 바닷속 플랑크톤 양도 관측 가능… 지구 전체 촬영하는 기능 추가
19일 오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해양 및 환경관측 위성 천리안2B호가 발사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위성센터장은 19일(한국 시간) 오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해양 및 환경관측 위성 천리안2B호에 대한 기대를 이같이 말했다.
천리안2B호는 2018년 12월 발사된 천리안2A호와 함께 국내 최초의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 위성인 천리안1호의 바통을 잇는 위성이다. 천리안1호는 2010년 발사된 뒤 한반도 3만6000km 상공에서 해양기상과 환경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천리안2B호도 천리안1호처럼 한반도 3만6000km 상공에 떠서 24시간 밀착 관측을 하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지구의 자전 속도에 맞춰 지구 주변을 돌기 때문에 땅에서 보면 계속 한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천리안2B호의 특징은 시간대별로 바다와 주변 환경을 더 자주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천리안1호가 하루 8번 촬영한다면 천리안2B호는 하루 10번 관측할 수 있다.
이렇게 관측한 해양환경 데이터는 급격한 해양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면서 심각한 피해를 주는 적조나 갈조는 대표적으로 주목하는 현상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햇빛을 흡수하거나 흩뜨리고(산란), 광합성을 통해 빛을 내뿜는다. 천리안은 3만6000km 상공에서 이 미세한 빛을 여러 파장으로 관측해 바닷물 1L 속에 플랑크톤이 몇 mg 들어있는지까지 알아낼 수 있다.
대기오염물이나 황사, 미세먼지, 폭설, 산불, 해빙, 해무도 천리안2B호의 주요 감시 대상이다. 갯벌에 물이 차오르는 모습이나 해양 폐기물 무단 투기,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할 때 바닷물이 혼탁해진 모습도 포착한다.
과학자들의 기초 연구에도 널리 활용된다. 유 센터장은 “천리안1호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한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논문만 200편에 이른다”며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분석 알고리즘을 함께 개발하자고 제안하는 등 국제 협력도 활발하다”고 말했다.
천리안1호가 임무를 마치기 전까지는 천리안2B호와 동시에 운영된다. 전문가들은 아직은 아이디어 수준이지만 마치 사람이 두 눈을 이용해 거리를 느끼듯 같은 곳을 보는 두 위성을 이용해 해수면 높이 계산 등에 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