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응팔’ 한 장면처럼… 추억속으로 떠나는 골목길

입력 | 2020-02-17 03:00:00

[스트리트 인사이드]
서울 도봉구 창동 ‘쌍리단길’




복고감성 자극하는 한글간판들 서울 도봉구 ‘쌍리단길’에 자리 잡은 카페 ‘쌍문동 커피’의 모습(왼쪽). 저층 주거지 위주의 쌍리단길 골목길에 ‘삼맛호오떡’처럼 젊은층이 좋아할 만한 음식을 파는 가게들이 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서울 도봉구 쌍문동은 강북구에서 도봉구로 넘어오는 관문에 해당한다. 가족의 ‘정(情)’을 다뤘던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응팔)’의 무대이기도 했던 이곳은 드라마의 영향 때문인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오랜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골목길의 대명사다.

실제로 지하철 4호선 쌍문역 3번 출구를 나서면 각종 잡화와 먹을거리를 파는 전통시장인 쌍문시장을 만날 수 있다. 주민들에겐 대형마트보다 더 익숙한 곳이다. 쌍문시장에서 도봉로를 건너 맞은편 골목을 통해 이면도로로 들어가면 낡은 저층 주거지가 나타난다. 전선 지중화 사업도 진행되기 전이라 전봇대 사이를 잇는 전선이 거미줄처럼 퍼져 있다.

이런 골목길에서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 사이에 이례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의 음식점이나 카페를 발견할 수 있다. 스테이크 덮밥을 파는 노말키친, 낙곱새(낙지·곱창·새우를 넣은 볶음) 전문점 구석집, 아기자기하게 가게 내부를 꾸며놓은 김화자카페, 호떡과 분식을 파는 삼맛호오떡 등이다. 간판이나 외부 인테리어만 보면 변두리 골목보다는 경리단길, 가로수길 등 ‘힙한’ 거리에서 더 어울릴 법하다. SNS에선 이곳을 ‘쌍리단길’이라고 부른다.

쌍리단길이라고 이름이 붙었지만 실제 위치는 도봉구 창1동이다. 도봉구 관계자는 “쌍리단길은 구청, 시청이 개입하지 않고 자생적으로 생겨났고 사람이 모이는 거리로 성장했다”며 “쌍문동이 드라마 응팔은 물론 만화 ‘아기공룡 둘리’의 배경이어서 대중에겐 친숙하다. 그래서 창리단길 대신 쌍리단길이란 이름이 붙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쌍리단길에 모인 점포들은 내부 면적 약 33m² 안팎의 크지 않은 가게들이다. 다양한 음식과 젊은 디자인이 저층 주거지와 어울려 뉴트로(새로운 복고) 감성을 자극한다. 14일 쌍리단길에서 만난 대학생 김은영 씨(24·여)는 “쌍리단길이 조성되기 전까지는 친구들과 파스타나 스테이크를 먹으려면 대중교통을 타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했다”며 “젊은층을 겨냥한 다양한 가게들이 생기며 오히려 다른 곳에 사는 친구들도 놀러 오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선주 씨(27·여)도 “창동, 수유, 노원 등 인근 번화가와 비교할 때 가장 젊은이들이 찾고 싶어 할 가게들이 모여 있는 곳이 바로 쌍리단길”이라고 말했다.

드라마처럼 정을 느끼게 하는 ‘젊은 사장’도 쌍리단길의 성장 기반이다. 쌍리단길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전인 2015년 이곳에 자리 잡은 쌍문동 커피의 이광섭 대표(39)는 도봉구에서 나고 자란 토박이다. 대학에서 토목학을 전공하고 관련 업계에 근무하던 그는 “레트로 디자인으로 직접 꾸민 카페에서 지역 주민과 소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어 자리를 잡았다”고 했다.

쌍리단길도 젠트리피케이션(원주민 내몰림)을 피하기는 어렵다. 이 대표는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임차료가 두 배 이상 뛰었다”며 “기존 임차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었지만 상승세가 무척 빠른 편”이라고 말했다. 디저트 가게의 주인인 A 씨(35·여)도 “쌍리단길의 가게들은 규모가 작아 손님을 많이 받기 어렵다. 임차료가 올라간 만큼 매출이 크게 늘어나기 어려운 구조라 임차료가 크게 오르면 상권이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도봉구는 쌍리단길 맞은편인 쌍문시장 일대에 보행 환경 개선, 전선·간판 정리 등의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쌍리단길까지 도시재생사업을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